[사설] 새 경제팀 첫 과제는 트럼프와의 관세전쟁 해결

입력 2025-07-01 01:3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시 관세 전쟁의 고삐를 죄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제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관세 대상국에 서한을 보내 25%, 35%, 50% 또는 10%의 관세를 통보할 것이라고 했다. 오는 8일로 예고된 상호 관세 유예 마감이 임박해지자 강한 압박으로 통상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계산일 것이다.

최악의 경우 트럼프 서한대로 된다면 이미 25~50%의 관세가 적용 중인 자동차와 철강·알루미늄뿐 아니라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에 15%가 추가로 부과될 수 있다. 5월 국내 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1.1% 줄고, 제조업 생산 감소는 4개월 만에 최대(-3.0%)다. 설비투자도 3개월 연속 하락하고 경기 동행지수와 선행지수 모두 추락했다. 상호관세를 유예했음에도 이처럼 침체 신호가 뚜렷한데 트럼프의 협박이 현실로 닥치면 그 충격이 어느 정도일지 가늠이 안 된다.

더 답답한 건 시간이 촉박하다는 점이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지난 22~27일 미국과 3차 기술협상을 재개했지만 8일까지 합의는 쉽지 않다. 더욱이 주요 7개국(G7) 회의에서 한·미 정상회담이 무산되고, 이어 열린 나토 회의에 이재명 대통령이 불참한 것은 뼈아프다. 그때 트럼프와 마주 앉았더라면 협상 여지를 확보해 서한 협박에 놀라지 않을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이제라도 더는 지체해선 안 된다. 물불 안가리고 겁박하는 ‘거래의 정치’를 상대하려면, 결국 두 사람이 만나 담판을 짓는 수밖에 없다.

이 대통령이 취임하자마자 한국거래소를 방문하고 재계 인사들과 면담하는 등 경제 정책 행보에 속도를 내는 모습은 긍정적이다. 그러나 지금 가장 다급한 것은 관세 전쟁이 가져올 산업 충격으로 행정 역량을 관세 협상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경제부처 장관 인선도 거의 마무리된 만큼 새 경제팀의 첫 번째 중요 과제를 관세 위기 돌파로 삼아 원팀으로 움직여야 할 시점이다. 통상·외교·산업이 하나로 맞물려 관세 유예 연장을 포함해 원만한 해법을 도출해내야 한다.

최근 코스피 지수가 3000선을 돌파하자 정부 일각에서는 이를 조기 경제 성과로 포장하려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그러나 수출산업 기반이 흔들리고 관세 폭탄이 눈앞에 닥친 상황에서 안심할 때가 아니다. 증시 호조 뒤에 가려진 실물 경제 경고음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회복의 기회는 순식간에 위기로 뒤바뀔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