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세동’은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어 호흡 곤란과 가슴 통증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부정맥 질환이다. 더 큰 문제는 심장 안에서 피가 굳는 혈전이 생길 위험이 크고 이게 혈관을 타고 뇌로 가면 뇌졸중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다.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위험은 최대 5배 높다. 그런데 반대로 뇌경색, 뇌출혈 발생 이후 일정 기간 내 심방세동이 새롭게 진단될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뇌졸중 발병 1년 내 심방세동 위험이 가장 커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삼성서울병원과 고신대복음병원, 서울대병원강남센터, 숭실대 공동 연구진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바탕으로 2010~2018년 건강검진 받은 뇌경색 환자 9만8706명, 뇌출혈 환자 4만7695명의 심방세동 발병 위험을 추적·분석했다.
분석 결과, 뇌경색 환자는 전체 추적기간 심방세동 위험이 일반인보다 2.3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뇌경색 진단 첫해에는 심방세동 위험이 7.32배까지 높아졌다. 1년 이후에도 심방세동 위험은 1.64배 높게 유지됐다. 또 뇌출혈 환자의 심방세동 위험은 일반인보다 1.24배 높았으며 발병 후 1년 안에는 4배까지 상승했다. 1년 이후에는 위험 수준이 대조군과 비슷했다.
연구팀은 “뇌졸중 이후 자율신경계의 불균형이나 전신 염증 반응 등으로 심장의 전기생리적 불안정성이 유발되고 이로 인해 심방세동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주관한 삼성서울병원 신동욱 교수는 지난 30일 “특히 교감신경계의 과활성화, 염증성 사이토카인(면역물질) 증가 등이 심장 내 심방의 구조·기능적 변화를 유발해 심방세동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면서 “뇌졸중과 심방세동의 공통된 위험 요인에 대한 통합적 예방·관리를 통해 재발과 합병증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뇌졸중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Stroke)’과 국제 학술지 ‘순환(Circulation)’에 각각 발표됐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