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페이가 새로운 전략 사업으로 연내 오프라인 결제 단말기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시장의 관심이 뜨거운 원화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구축 과정에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포부를 내놨다.
올해로 서비스 10주년을 맞은 네이버페이는 26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Npay 미디어데이 2025’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네이버페이는 온라인 중심의 간편결제를 오프라인으로 확대할 전략 사업으로 오프라인 결제 단말기 ‘커넥트’를 공개했다. 커넥트는 현금·카드 등 전통적인 결제수단부터 QR 코드·마그네틱 보안 전송(MST)·근거리 무선 통신(NFC), 얼굴 인증 기반의 ‘페이스 사인’ 결제까지 사용자 편의를 위한 모든 결제수단을 제공할 예정이다.
사업자는 기존 결제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도 커넥트 연결과 서비스가 가능하다. 커넥트는 예약·주문, 고객 리뷰·쿠폰 등 고객 접점에서의 다양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박상진(사진) 네이버페이 대표는 “온라인은 물론 오프라인에서도 사용자와 가맹점이 긴밀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며 “그렇게 된다면 오프라인 가맹점주들의 매출이 증가하고, 고객에게는 정확하고 편리하게 리워드를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페이는 이재명정부의 정책 방향에 보조를 맞춰 원화 스테이블코인 관련 서비스를 적극 추진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박 대표는 “네이버페이는 3000만명이 넘는 사용자와 가맹점 등을 바탕으로 원화 스테이블코인 기반의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갖추고 있다”며 “합리적 제도가 마련된다면 네이버페이는 선도적인 역할을 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구체적인 서비스 방안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박 대표는 “아직 금융당국이나 한국은행으로부터 방향 및 구조가 나오지 않아 (네이버페이의) 역할 범위 등에 대해 확정된 것은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비금융회사 중심으로 운영되는 상황이 온다면 네이버페이 생계태의 포인트가 스테이블코인으로 대체되는 상황도 올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양윤선 기자 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