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후 처음 호남을 방문하고 오랜 갈등 사안인 광주 군(軍)공항 이전 문제를 대통령실이 직접 맡아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또 자신의 대선 핵심 공약이었던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 건설을 거듭 강조하며 수도권 집중 문제 해소의 발판으로 삼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25일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진행된 ‘광주시민·전남도민 타운홀 미팅’을 주재하고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도지사, 김산 무안군수로부터 광주공항 이전 문제에 대한 의견을 차례로 들었다. 광주광역시와 전남 무안군은 십여년간 광주공항 및 군공항을 무안국제공항으로 통합 이전하는 문제로 갈등을 빚어 왔다. 2013년 ‘군공항 이전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갈등도 본격화됐는데, 무안군은 군공항 이전에 따른 소음 문제와 자산가치 하락, 광주시의 보상 부족 등을 이유로 반대해 왔다.
이 대통령은 40분 가까이 이어진 ‘4자대면’ 이후 “정부가 문제 해결을 주관하도록 하겠다”면서 “대통령실에 태스크포스(TF)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서로의 입장을 확인했고, (서로에 대한) 불신도 있으니 국가 단위에서 책임지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구체적으로 대통령실과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주민,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6자 TF 구성을 지시했다. 또 군공항 이전 후 진행될 광주공항 부지 개발 사업에 무안군이 참여해 개발 이익을 우선 확보하는 방안도 직접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전남도에도 “무안 지역이 피해를 보지만 전남 입장에서는 중요한 국가 시설을 유치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니 전남도 함께 책임을 지자”고 당부했다.
이와 함께 이 대통령은 “기후 위기와 에너지 대전환이라는 세계적 변화에 맞춰 대한민국도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재생에너지의 보고인 서남해안을 중심으로 남부벨트의 발전을 이뤄낸다면 수도권 일극 체제, 수도권 집중 문제를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며 지역 균형발전 의지도 재확인했다.
최승욱 이동환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