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이 대통령, 내란 척결 과하지 않게 해야 한다고 해”

입력 2025-06-24 18:48 수정 2025-06-25 00:14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24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참석해 오른손을 들고 선서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는 24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군이든 관료든 내란 척결 과정에서 과도한 범위의 확산으로 피해가 가지 않게 고민해야 한다는 문제 제기를 일찍 했다”고 말했다. 논란이 된 5년간 지출 중 6억원 출처에 대해서는 출판기념회·경조사비로 4억여원, 처가에서 2억원을 지원받았다는 취지로 해명했다.

김 후보자는 “공직에 있는, 드러나지 않은 내란 가담자는 다 정리해야 한다”는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 지적에 “내란의 뿌리를 철저하게 바로잡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은 국민 현실과 경제가 어렵기 때문에 정확하게 초점을 맞춰 질서 있고 최대한 이른 시간 안에 내란을 정리해야 한다는 관점”이라며 “경제를 살리는 데 최대한 영향을 덜 주는 방법으로 해야 한다는 고민도 함께하고 있다”고 말했다. ‘내란 종식’ 방식을 두고는 “고위직이 처신을 명료하게 하지 못한 부분은 역사에 교훈을 남겨야 한다”면서도 “하위직으로 가면 공직사회 활성화를 위해 과도한 조사 등은 절제가 필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과는 오래전부터 ‘사회협약 국가’로 가야 한다는 말을 나눴다고 소개하며 “윤석열 정권의 가장 큰 잘못 하나가 이유를 알 수 없는 숫자 2000명을 가지고 의대생 문제로 모두를 괴롭게 만든 것”이라고 예시했다. 윤석열정부의 몰락 이유에 대해서는 “망할 짓을 했기 때문 아닌가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 대통령의 “민주당은 중도보수”라는 발언은 일회용 전술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김 후보자는 “이 대통령에게 ‘중도보수라고 말씀하신 것을 일회용 선거 전술로서가 아니라 진지하게 해야 한다’고 말씀드렸다”며 “(이 대통령) 본인은 진짜 그렇게 생각한다는 말씀을 하셨다”고 전했다.

국민의힘은 상당수 질문을 김 후보자의 재산축소 신고 의혹에 할애하며 해명을 요구했다. 2020~2025년 공식 수입인 국회의원 세비(5억1000만원) 대비 총지출이 13억여원으로 차액인 8억원가량 출처가 소명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김 후보자는 이 중 아들 유학비 2억원가량은 전 배우자가 부담했다고 밝혔었다. 이어 나머지 6억원 수입에 대해 처음으로 구체적 출처를 밝혔다. 그는 빙부상 부의금 1억6000만원, 두 번의 출판기념회 2억5000만원 수준으로 금액을 특정했다. 이에 더해 김 후보자는 “(정치자금법 위반 사건) 추징금을 내며 아내가 생활비가 부족해서 그때그때 200만원, 300만원씩 손을 벌려 (처가에서) 도움을 받은 것들이 5년 합쳐 보니 2억원 정도 된다”고 말했다. 2억원은 청문회 준비 과정에서 확인해 청문회 직전 증여세 처리를 마쳤다고 했다.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김 후보자 아들 유학비에 대해 “장남에게 송금된 외환 신고내역이 없다”고 몰아붙였다. 김 후보자는 재차 “제 아이에 대한 학비 지원을 한 바가 새 가정을 출발한 이후 없다”고 반박했다.

국민의힘은 김 후보자의 칭화대 법학 석사 학위 취득 절차에 대해서도 소명을 요구했다. 김희정 의원은 “후보자는 학위 과정 중 26일간만 중국에 있었다”며 “후보자가 비행기를 탄 시간이라고 주장하는 시간에 (재보궐 선거) 개표 상황실에 머물렀던 것으로 기사와 사진이 나와 있다”고 지적했다. 김 후보자는 “계산하신 것과 달리 148일 체류가 돼 있는 점을 말씀드릴 수 있다”고 반박했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