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AI 중심 가치 창출형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청사진

입력 2025-06-25 00:58
KAIST 연구원이 AI연구를 위해 데이터 분석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모습.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새 정부 출범에 맞춰 ‘인공지능(AI) 중심 가치 창출형 과학기술특성화대학’으로 거듭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KAIST는 대한민국이 AI 주요 3개국(G3)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모든 국민이 소외 없이 AI를 활용할 수 있는 ‘AI 기본사회’를 만들겠다고 24일 밝혔다. ‘국가 AI 연구거점 사업’을 바탕으로 산업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각종 사회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계획이다.

KAIST는 2020~2024년 머신러닝 분야 관련 최고 3대 학회 순위에서 세계 5위, 아시아 1위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머신러닝, 자연어처리 등과 관련한 논문 수는 세계 5위, 아시아 4위를 차지했다. 세계 최고 권위의 반도체 집적회로 학술대회인 ISSCC에서는 평균 논문 채택 수 세계 1위를 차지했다.

현재 초거대 AI 모델과 뉴로모픽 반도체, 저전력 AI 프로세서 등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자율주행·도심항공교통 등의 응용 분야까지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AI와 밀접한 로봇 분야는 실용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앞서 황보제민 KAIST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재난구조 및 험지 탐사 등 고위험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사족보행 로봇 ‘라이보(RAIBO) 2’를 개발해 주목을 받았으며, 공경철 교수팀과 엔젤로보틱스는 보행 장애인을 위한 외골격 로봇 ‘워크온 슈트’를 개발했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G3 AI 강국 실현을 위해 인재 양성과 연구개발에 주력할 예정”이라며 “AI를 통해 제조업 경쟁력을 회복하고 각종 AI기술을 산업 현장에 보급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겠다”고 강조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