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다음 달 9일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서 갤럭시 Z폴드·플립7을 공개한다. Z폴드7은 전작보다 얇은 두께에 갤럭시 S시리즈의 최상위 모델인 ‘울트라’급 성능을 갖출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24일 ‘갤럭시 언팩 2025’ 초대장을 공개했다. 초대장은 ‘울트라 경험, 더 넓게 펼쳐질 준비를 마치다’라는 제목과 함께 얇은 두께의 스마트폰을 형상화하는 영상으로 구성됐다. 울트라급 성능의 갤럭시 폴드를 선보이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삼성전자는 뉴스룸에서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의도를 이해하고, 실시간으로 반응하는 일상의 동반자로 진화하고 있다”며 “AI가 단순히 반응하는 수준을 넘어 사용자의 의도와 다음 행동을 예측하고 즉각 실행하는 새로운 경험이 시작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삼성전자는 AI 중심 인터페이스에 최적화된 하드웨어 설계에 집중해 왔다”며 “차세대 갤럭시 디바이스는 구조 단계부터 새롭게 정의돼 더욱 깊이 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갤럭시 Z폴드7은 반으로 접었을 때 8.9㎜, 펼쳤을 때 3.9㎜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 전작의 두께가 각각 12.1㎜, 5.6㎜였던 것과 비교하면 바로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얇아질 전망이다. 메인 디스플레이 크기는 약 8.2인치로, 전작의 7.6인치보다 커질 것으로 보인다. 칩셋은 퀄컴 스냅드래곤 8 엘리트가 유력하다.
Z플립7에는 삼성전자가 자체 설계·생산하는 엑시노스 2500이 전량 탑재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Z플립7에 엑시노스가 탑재되면 삼성전자 폴더블폰 중 최초로 자사 칩셋을 사용하는 사례가 된다.
관건은 가격이다. Z폴드6 1TB 모델이 270만원대인 것을 고려하면 올해 신제품 최고 사양 모델은 300만원을 넘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한 대로 이달 말부터 해외 생산 스마트폰에 최소 25% 관세가 붙으면 갤럭시 Z시리즈부터 타격을 입을 가능성도 있다. 올해 초 공개된 갤럭시 S25 시리즈 가격은 동결됐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