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청문회, 재산신고 축소·정치 스폰서 의혹 난타전 예고

입력 2025-06-24 00:05
연합뉴스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국회 인사청문회가 24일부터 이틀간 열린다. 야당이 제기한 김 후보자의 의혹은 크게 재산신고 축소, 정치 스폰서 존재, 중국 칭화대 석사학위 과정, ‘아빠 찬스’ 의혹 등 네 갈래로 이뤄져 있다. 이를 바탕으로 지명 철회를 요구하는 야당과 엄호에 나선 여당이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고 있어 이재명정부 내각 구성의 최대 분수령으로 꼽히고 있다.

국민의힘은 김 후보자의 재산신고 축소 의혹에 화력을 집중하고 있다. 우선 김 후보자는 2019년 말 기준 총 자산이 마이너스 5억7701만원이었는데 올해 1억5492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5년간 순자산이 7억3193만원 늘어났다. 같은 기간 김 후보자가 벌어들인 수입은 국회의원 세비 5억1000만원에 그쳤다. 또 같은 기간 김 후보자는 13억여원을 지출했다.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김 후보자는 2020년 이후 5억원을 벌고 13억원을 썼다”며 “수입 대비 8억원이 소명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김 후보자는 8억원 중 2억원의 아들 유학비는 본인 아닌 전처가 부담하고 있고, 나머지 6억원은 결혼식 축의금 등 경조사와 출판기념회에서 들어온 돈이라는 입장이다. 김 후보자는 “그해 들어온 돈을 그해 쓰면 법적으로 신고를 안 하게 돼 있다”고 해명했다. 국민의힘은 김 후보자 말이 사실이어도 해당 수입에 대해 세금을 냈다는 증빙자료를 추가 제출하라고 압박하고 있다. 탈세 여부를 따져보겠다는 취지다. 주 의원은 23일 “제2의 김민석을 막겠다”며 출판기념회 수익을 정치자금 신고 범위에 포함하는 ‘검은봉투법’을 발의했다.

재산신고 축소 의혹은 ‘정치 스폰서’ 의혹과도 연결된다. 김 후보자는 옛 불법 정치자금 공여자 강신성씨에게 2018년 4000만원을, 그밖의 지인 10명에게 모두 1억원을 빌렸다. 김 후보자는 이 채무를 갚지 않다가 국무총리 지명 직후 대출을 받아 완납했다. 특히 야권은 강씨의 존재를 유심히 보고 있다. 김 후보자는 2008년 지인 3명으로부터 불법 정치자금 7억2000만원을 받은 혐의로 2010년 대법원에서 집행유예형 유죄가 확정됐는데, 강씨는 당시 지인 3명 중 1명으로 김 후보자에게 2억5000만원을 공여했었다.

김 후보자의 중국 칭화대 법학석사 학위 취득 과정에도 의문이 제기된다. 그는 2009년 9월부터 2010년 7월까지 법학석사 학위를 취득했다고 밝혔는데, 같은 기간 그는 민주당 최고위원으로 활동하고 부산시장 출마를 준비했다. 김희정 국민의힘 의원은 “후보자가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체류일수는 26일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정상적으로 학위를 딸 조건이 됐느냐는 취지다. 김 후보자는 “미국 로스쿨 3년 박사과정과 중국 로스쿨 1년 석사과정을 동시에 진행했고, 칭화대 석사 학점을 미국 박사 학점으로 인정받았다”고 반박했다.

아들의 입시 ‘스펙’을 위해 의정활동을 벌였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김 후보자 아들은 고교 2학년 때인 2022년 8월 교내 동아리를 만들어 표절 예방 교육을 필수화하는 입법활동을 했는데, 민주당은 이듬해 이와 유사한 내용의 교육기본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김 후보자는 해당 법안 공동 발의자로 참여했다. 김 후보자는 “아들은 입법활동을 대학 진학 원서에 활용한 적은 없다”며 “해당 활동을 원서에 사용하지 않는 게 좋겠다는 제 권유에 따른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