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25일 네덜란드에서 열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 이재명 대통령 대신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참석하기로 했다. 대통령실은 대통령 불참이 ‘중동 사태 불확실성’ 때문이라고 했지만 대한민국의 외교 정상화를 보여주고 글로벌 경제·안보 연대를 살릴 기회를 미룰 정도의 사안이었는지는 의문이다. 게다가 나토 회의는 이 대통령 실용외교를 보여줄 절호의 무대가 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아쉬움은 더욱 크다.
대통령실이 22일 이 대통령의 나토 회의 참석 계획을 발표하려다가 돌연 바꾼 건 당일 오전 공개된 미국의 이란 공습과 경제적 여파 우려 때문이다. 원유 70% 이상을 중동에서 들여오는 우리로선 중동 불안 확산은 예삿일이 아니다. 하지만 나토 회의 일정이 이틀뿐이고 지정학적 돌발 상황의 경우 비상계획(컨틴전시 플랜)이 시스템화 돼 있다. 대통령 부재가 큰 문제는 아니다. 주요 7개국(G7)·나토 회의에 초청받아 국제 질서를 함께 논의하는 것은 국가 위상을 보여준다. 30여 우방국 정상들과 만나 방위비 인상, 중동 사태, 한반도 긴장완화 등에 대한 동향을 확인하고 조언을 얻는 건 큰 소득일 수밖에 없다.
특히 유럽은 최근 한국형 원전을 도입한 체코, 한국 무기 구매에 적극적인 폴란드 등 K원전, K방산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다. 미국도 조선·원전에 대한 한국의 협력을 바라고 있다. 이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회의는 우리의 경제 이익을 극대화 할 최적의 장소였다. 이를 활용하는 게 진정한 실용외교 아닌가. 일본 이시바 시게루 총리도 나토 회의 불참을 검토 중이라고 하나 막 정상회의에 발을 디딘 우리와는 처지가 다르다. 특히 방위비, 관세 협상 등 최고 동맹 미국과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적한 시기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만남이 G7에 이어 잇따라 연기된 건 걱정이다. 정상외교의 절박함이 어느 때보다 높은 시기임을 명심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