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3일 11개 정부 부처 장관 후보자를 대거 지명하면서 남은 8개 부처 장관 인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법무부를 비롯해 주로 개혁·혁신 대상 부처여서 적임자 물색에 조금 더 시간이 걸릴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 대통령이 단행한 인사로 정부 부처 장관 19개 자리 중 11개가 채워졌다. 이에 따라 기획재정부, 교육부, 법무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국토교통부 등 8개 부처 장관 인선만 남겨두게 됐다.
대통령실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없이 출범한 상황에서 일단 인사 검증에 물리적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국민추천제’를 통한 추천 인사 검증에도 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몇몇 부처 인선이 제외된 데 대해 “이유나 사정은 없다. 의견을 듣고 있는 만큼 머지않은 시간에 발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인수위 없이 장관을 발표하는 과정상 여러 가지로 시간이 더 필요했다. 국민으로부터 받은 추천과 의견을 담아 인선하다 보니 지연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치권에서는 개혁 대상으로 거론되는 부처에 대한 인선은 더 늦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더불어민주당은 기재부에서 예산 편성 기능을 따로 떼어내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분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법무부도 산하 검찰청의 수사·기소권을 분리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행정안전부의 경우 교육부에서 부총리직을 넘겨받는 방안, 산하에 검찰에서 넘겨받은 수사 기능을 토대로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하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조직에 변화가 있거나 격상되는 부처는 더욱 신중한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동환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