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미국의 이란 공습, 경제·안보 파장 최소화해야

입력 2025-06-23 01:10
백악관 상황실에 앉아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EPA연합뉴스

미국이 21일(현지시간) 포르도와 나탄즈, 이스파한 등 이란 핵시설 3곳을 벙커버스터(지하시설 파괴 폭탄) 등을 동원해 전격 공습하며 이란과 이스라엘 간 분쟁에 직접 개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대국민 연설에서 “공습은 성공적이었다. 이란의 주요 핵농축 시설은 완전히 제거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란이 피습 이후 이스라엘에 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즉각 응수했고 핵 활동을 중단하지 않겠다고 밝힘에 따라 사태가 가라앉기보다는 확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중동 정세가 악화일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그동안 재정 문제 등을 들며 직접적인 군사 개입을 자제해 왔다. 우크라이나 및 가자 전쟁에서도 이런 기조를 유지한 채 당사자 간 휴전 협상 등을 촉구해왔다. 하지만 미 폭격기가 이란 영공까지 날아가 직접 공습에 나서 사실상 미국이 참전한 모양새가 됨에 따라 중동 분쟁의 성격은 확연히 달라지게 됐다. 글로벌 안보와 경제에 미칠 파장이 작지 않을 전망이다.

이란 관영 매체가 “(공습으로)중동 지역 내 미군 및 미국 시민은 합법적 표적이 됐다”고 경고하면서 이스라엘에 대한 형식적 미사일 반격을 넘어선 보복 가능성도 우려된다. 호르무즈 해협 봉쇄, 중동 지역 미군 대상 테러 등이 예상되는데 이는 이스라엘-이란전 장기화를 의미한다. 투자기관 JP모건은 호르무즈 해협이 봉쇄되고 충돌이 중동 전역으로 확대될 경우 국제유가가 배럴당 120∼130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예상했다. 석유값이 현재보다 2배 가까이 뛰게 된다는 것이다.

중동 불안은 에너지 수입국인 한국 경제에 직격탄이다. 나라가 저성장의 수렁에 빠져 있고 정치 리더십 부재를 겨우 매듭지은 와중에 중동 사태 악화는 새정부 경제살리기 대책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 한반도 안보에 미칠 영향도 간과해선 안 된다. 이번 공습을 본 북한 정권이 비대칭 전력으로서의 핵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면 협상을 통한 비핵화 가능성은 더욱 낮아지기 때문이다. 대통령실이 사태 직후 긴급안보경제상황 점검회의를 연 것도 심각성을 인식해서일 것이다. 중동 문제가 안보와 경제 상황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관계부처 간, 부처와 기업 간 소통과 협업에 차질이 없도록 대통령실이 중심을 잡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