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 DM] 감리교 성도 친구가 교파별 차이 궁금해해요

입력 2025-06-23 03:10

Q : 학교에서 만난 기독교인 친구가 자신은 감리교 성도라면서 교파별 차이를 궁금해하더라고요.

A : 교파별 차이를 아는 것도 재미있는 일이지. 하지만 교파별로 갈라진 것은 정말 많은 교리적, 교회정치적 이유가 있거든. 일단 교회정치적인 부분만 생각해 보자. 내가 장로교회 목사니 장로교회를 중심으로 비교해 볼게. 우선 유아 세례의 존재 유무나 세례 방식의 차이가 있어. 침례교회는 오직 물에 잠기는 방식의 세례만 인정하지만 장로교회(를 비롯한 다른 교파들)는 붓거나 뿌리는 것도 바르다고 인정하지. 하지만 침례교회의 가장 큰 특징은 ‘회중정치’야. 즉, 각각의 지역교회가 다른 어떤 지역교회, 혹은 다른 모임들의 권위에 예속되지 않고 결정권을 갖지. 장로교회는 한 지역 내 여러 개교회의 장로들이 모여서 함께 여러 교회를 돌보는 방식이야. 그래서 장로교회는 한 개교회가 모든 것을 독단적으로 결정할 수 없어. 예를 들면 교회 이름을 바꾸더라도 여러 장로가 모인 노회의 허락을 받아야 하지.

감리교회는 일종의 중앙집권적 시스템인 ‘감독 정치’를 그 특징으로 해. 일정 수 이상의 교회가 모여 연회(장로교의 노회)를 구성하는데, 이 연회가 모여서 총회를 형성하지. 연회의 장은 ‘감독’이라고 부르고(성공회에서는 ‘주교’라고 부르지), 총회의 장은 ‘감독회장’이라고 불러. 어쨌든 감독은 개인이 아주 강력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데, 목사 안수나 개교회에 목회자를 파송하는 것까지의 권한을 가지고 있지.

장로교회는 일종의 간접민주주의 형태야. 장로들이 많은 권한을 가지고 있으니 민주적이지 않은 것처럼 보이지만 민주주의 국가인 우리나라도 개개인이 입법권을 가지고 있지 않잖아. 개개인이 뽑은 국회의원이 입법권을 가지지. 그런 것처럼 장로 역시 회중이 투표해서 뽑고(집사도 마찬가지), 그들이 교회를 섬기는 것이니 민주적이라고 볼 수 있지. 순복음교회도 비슷한 형태를 추구해. 그 외에도 침례교회나 감리교회, 그 외의 교파들의 차이는 커. 예정 교리 같은 문제들도 이슈이고. 그래도 중요한 교회 구조의 차이는 어느 정도 설명한 것 같네.

이정규 목사(시광교회)

●마음을 터놓고 묻고 싶은 점을 seetheglory1@naver.com으로 보내주시면 이 지면을 통해 상담해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