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조 원전 해체 시장… 한국 ‘고리 1호기’로 첫발 내딛나

입력 2025-06-20 00:21
한수원 고리 원자력 본부 전경. 한국수력원자력 제공

한국의 최초 상업용 원전 ‘고리 1호기’의 해체 승인 심사가 다음 주 중 마무리된다. 고리 1호기의 해체가 최종 승인되면 국내 원전산업은 500조원 규모의 세계 원전 해체 시장을 향한 본격적인 첫발을 내딛게 된다.

19일 원전 업계에 따르면 원자력안전위원회(안전위)는 오는 26일 본회의를 열고 ‘고리 1호기 해체 승인’ 안건을 상정한다. 승인될 경우 2017년 6월 고리 1호기의 영구정지 이후 8년 만에 국내 첫 원전 해체 작업이 시작된다.

부산 기장군에 있는 고리 1호기는 1977년 처음 가동된 한국의 ‘1호 상업용 원전’으로 30년 설계수명을 마친 뒤 2007년 계속운전 승인을 받아 2017년 5월까지 운영됐다. 2015년 2차 계속운전 여부를 두고 해체산업 육성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2017년 6월 영구정지됐고, 운영사인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2021년 5월 해체계획 승인 신청서를 원안위에 제출했다. 한수원은 지난해 5월부터 해체 사전준비의 일환으로 화학약품을 이용해 방사성 물질 오염 제거작업을 진행 중이다.

해체 승인 시 최근 ‘블루오션’으로 떠오른 국내 원전해체 산업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첫 해체 작업인 만큼 사용후핵연료 처리부터 부지 활용까지 기술력을 축적할 기회를 얻게 되기 때문이다. 한수원은 이미 총 96개 해체 상용화 기술 중 58개를 확보해뒀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전 세계 영구정지 원전은 214기다. 이 중 해체가 완료된 원전은 미국 20기, 독일 3기, 일본과 스위스 각각 1기로 25기에 그친다.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는 2145년까지 전 세계 원전해체 시장 규모가 5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관건은 안전성 우려 해소다. 특히 원전 해체 과정에서 방사성 물질 피폭 등 안전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부산지역 사회와의 소통이 과제로 남아있다. 원안위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원전 해체 과정에서의 방사성 물질 피폭 사례는 보고된 바 없다”며 “지역협의회를 통해 해체과정의 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혜지 기자 heyj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