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은 경기도 화성 남양연구소에서 국토교통부·한국교통안전공단(TS)과 차세대 커넥티드 전자식운행기록장치(DTG) 개발·보급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DTG는 자동차의 속도, 주행거리, 위치정보시스템(GPS) 신호 등을 실시간으로 자동 기록하는 장치다. 버스·화물차·통학버스 등 운송 사업자 차량은 DTG를 의무적으로 장착해 운행기록을 직접 제출해야 했다. 그러나 커넥티트 DTG를 이용하면 이런 수고를 하지 않아도 TS 운행기록분석시스템으로 자동 제출할 수 있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안에 개발을 마치고 내년 출시될 4.5t 이상 상용차부터 서비스를 적용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제도적 지원을 맡는다. TS는 DTG 표준사양서·관련 규정 개정, 운행기록분석 시스템 연계, 제품 시험·인증 등을 지원한다. 현대차그룹은 TS 데이터 제공 사업 협력을 통해 운전 패턴 분석, 휴게시간 준수 여부 확인 기능 등 신규 서비스 개발에도 나설 계획이다. 박상현 현대차·기아 상용 생애주기관리(LCM) 담당 부사장은 “지속적인 기술 교류를 통해 차량 데이터 기반 서비스를 개발하고 고객 안전을 위한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