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계란값 9월 이후엔 안정”… 배추 물량도 확보

입력 2025-06-19 00:17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계란. 연합뉴스

농림축산식품부가 계란, 배추 등 민생 밀착형 품목을 중심으로 ‘농식품 수급·유통 개혁 태스크포스(TF)’를 신설해 수급 및 유통구조 전반을 점검한다고 18일 밝혔다. 지난 16일 열린 범부처 물가관계차관회의 논의에 따른 후속조치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물가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9월 이후 계란 생산량이 증가해 수급이 안정세로 돌아설 것”이라며 “TF 차원에서 품목별 수급 안정 대책을 매달 발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달 1~10일 기준 계란(30구)의 산지 가격은 5726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4% 급등했다. 같은 기간 소비자 가격도 7028원으로 8.3% 올랐다.

정부는 계란 생산 확대를 위해 산란계(계란 생산을 목적으로 사육되는 닭)의 생산 기간을 평균 84주에서 87주로 늘리고, 생산자 단체와 협의해 산란계에 비타민과 영양제를 투입해 생산 안정화에 나설 계획이다. 제과·제빵으로 사용되는 계란가공품 할당관세 적용 물량은 4000t에서 1만t으로 확대해 수요 분산도 꾀한다. 계란 산지가격 조사·발표 체계를 축산물품질평가원으로 일원화해 계란 가격 결정체계도 투명화한다.

배추 수급 안정대책도 추진한다. 정부는 농협 및 산지유통인을 대상으로 사전 수매계약 4000t을 체결해 8~9월 출하 물량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상기후에 대비해 배추 예비묘(배추 모종) 250만주와 주요 병해충 방제 약제를 제공한다.

최근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진 가공식품·외식물가 안정을 위해서는 공공배달앱 소비쿠폰을 지원한다. 추가경정예산(추경)에 국산 농산물 구매자금을 반영해 중소, 중견식품 기업의 경영 부담도 완화한다.

세종=김혜지 기자 heyj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