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협력 확대’ 의지 드러낸 한·일 정상, 빠른 실천 뒤따르길

입력 2025-06-19 01:30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17일(현지시간) 캐나다 엘버타주 캐내내스키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장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양 정상은 G7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첫 한·일 정상회담을 가졌다. 캐내내스키스=김지훈 기자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캐나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첫 정상회담을 가졌다. 앞서 전화통화에 이어 취임 14일 만에 대면 회담을 가진 것 자체가 양국 관계 개선에 있어 의미 있는 일이다. 특히 양 정상 모두 관계 개선 의지를 명확히 드러내 고무적이다. 이 대통령은 “작은 차이를 넘어 여러 면에서 협력하고 싶다. 오늘을 계기로 한·일이 미래지향적으로 더 나은 관계로 발전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시바 총리 역시 “우리 둘과 그리고 양국 정부·기업·국민 간 교류가 활성화되고 양국 공조가 지역과 세계에 도움 되길 진심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양 정상은 이런 인식하에 다방면에 걸쳐 교류·협력을 확대하고 정상 간 셔틀외교 재개 논의에 나서기로 했다.

이런 언급과 논의 결과는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한층 더 성숙한 관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양국 국민의 바람과 무관치 않다. 단순한 립서비스가 아니라 실제로 관계를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가 엿보인다. 이 대통령이 “한·일은 앞마당을 같이 쓰는 이웃집처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라고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 대통령이 취임 전엔 윤석열정부가 일본에 지나치게 굴욕적이라고 비판해 강경한 대일외교가 예상됐지만 그런 우려를 많이 불식했다. ‘국익 중심 실용외교’ 기조에 따른 바람직한 변화다. 양 정상이 이런 우호적 태도를 계속 유지하고, 실질적 협력의 결과물도 서둘러 내놓는다면 양국 관계가 진일보하리라 기대한다.

외교안보 측면의 공조 약속도 눈길을 끈다. 양 정상은 급변하는 국제 정세에서 비슷한 처지에 있다면서 서로 협력해 공동의 이익을 극대화하자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또 대북 문제나 지정학적 위기 대응을 위해 한·미·일 협력뿐 아니라 한·일 협력도 심화하기로 했다. 한·일 협력 강화는 향후 미국과 중국의 부당한 압박에 대응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다만 이번 회담에서 과거사 문제가 의미 있게 다뤄지지 못한 점은 아쉬움이 남는다. 양국 간에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배상, 일제강점기 징용 피해자 대상 ‘제삼자 변제’ 등의 민감한 문제들이 여전히 남아 있다. 과거사 문제가 미래 협력을 그르치지는 말아야겠지만 그렇다고 덮어두는 듯한 인상을 줘서도 안 된다. 과거를 직시하고, 올바른 인식을 공유할 때 오히려 양국 관계가 더 안정적으로 발전할 수 있어서다. 추후 회담에서 과거사 문제에 대한 진전된 논의가 이뤄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