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보다 미래로… 한·일 정상,경제·안보 협력 강화 공감대

입력 2025-06-18 18:53 수정 2025-06-18 18:54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17일(현지시간) 캐나다 엘버타주 캐내내스키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장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양 정상은 G7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첫 한·일 정상회담을 가졌다. 캐내내스키스=김지훈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첫 정상회담을 통해 대일 정책을 과거사 정리보다 미래 협력에 중점을 두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경제적으로도, 국가 안보상으로도 요동치는 국제 정세 속에서 인접한 양 국가 간 한층 강화된 협력이 필요하다는 데 양 정상이 의견을 같이했다.

이 대통령은 17일(현지시간)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차 방문한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에서 이시바 총리와 만나며 한·일 정상외교 복원의 시동을 걸었다. 양 정상은 최근 전략적 환경 속에서 한·일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보다 견고하고 성숙한 한·일 관계의 기반을 조성해 나가자고 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특히 과거사 문제와 미래 협력은 분리해 대응한다는 기존의 투트랙 태도가 견지됐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과거라는 말이 안 나온 것은 아니지만, 그 쟁점을 위주로 얘기한 것은 아니다”며 “과거의 문제는 과거의 문제대로 논의하지만, 과거의 문제가 현재와 미래의 협력을 저해하지 않도록 잘 관리한다는 것이 우리의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도 정상회담에서 “작은 차이들이, 또 의견 차이들이 있지만 그런 차이를 넘어서서 한국과 일본이 여러 면에서 서로 협력하고, 서로에게 도움 되는 관계로 발전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이시바 총리도 “대통령님과 저, 정부 간, 기업 간뿐 아니라 국민 간 교류도 더 많이 활성화되길 기대한다”고 화답했다.

대통령실은 양 정상이 북한 문제를 포함해 지역 내 여러 지정학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한·미·일 공조를 발전시키고, 한·일 간 협력도 심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최근 북한이 러시아에 추가 파병을 결정하고, 양국 모두 미국의 통상 압박을 받는 경제·안보 위기 상황에 대응해 양국 간 긴장도를 낮추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대통령실은 양국 관계를 ‘유사한 입장에 있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영국 키어 스타머 총리와 정상회담에서는 한·영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문제를 논의했다. 대통령실은 “두 정상은 현재 진행 중인 한·영 FTA 개선 협상을 속도감 있게 진행해 양국 간 교역·투자를 확대하고, 디지털, 공급망 등 새로운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해 나가자고 했다”고 전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는 잠수함 등 방산 문제를 핵심 협력 과제로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한국의 캐나다 잠수함 획득 사업 참여 등을 통해 오랜 우방국이자 글로벌 파트너인 캐나다와 안보·방산 협력을 더욱 심화해 나가자”고 제안했고, 카니 총리는 “한국의 방산 역량에 대해 잘 알고 있다. 앞으로 역내 및 글로벌 안보 협력을 위해 양국이 적극 공조해 나가자”고 답했다.

이 대통령은 G7 정상회의 현장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조우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기념촬영식이 끝난 후 젤렌스키 대통령과 악수하고 짧은 인사를 나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가벼운 대화를 나눈 것으로 알고 있다”고만 했다.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모든 공식일정이 종료된 후 캘거리에 마련된 현지 프레스센터를 찾아 “국제 사회에 민주 한국이 돌아왔다는 메시지를 분명하게 각인시킨 것과 한국 정상외교를 완전히 복원시켰다”고 자평했다.

캐내내스키스=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