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향하라” 선교적 교회로 가는 직진 신호등 불 밝혔다

입력 2025-06-18 03:00
만나IC 2025 콘퍼런스 참석자들이 17일 경기도 성남 만나교회 본당 앞에 설치된 포토존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만나교회 제공

17일 오후 경기도 성남 만나교회(김병삼 목사) 본당 앞. 평일 조용했던 이곳이 고속도로 휴게소처럼 북적였다. 목회자들과 평신도 리더들이 저마다 스마트폰을 꺼내 들고 특별한 포토존 앞에서 셀카를 찍고 있었다.

‘내 인생의 표지판’이라는 제목 아래 설치된 이곳은 실제 도로에서 볼 법한 그림이 그려진 메모들이 가득 붙어 있었다. 빨간색 원형 표지판 그림은 접근금지를, 초록색 화살표는 직진을 의미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두려움, 머뭇거림, 교회 중심주의 등이 적힌 빨간색 표지들과 선교적 교회, 세상을 향한 마음, 타자를 위한 섬김 등을 적은 초록색 화살표가 쌓여 갔다.

서울 구로구의 한 교회에서 사역하는 오예훈(28) 전도사는 초록색 표지에 ‘선교적 교회 만들기’라고 적었다. 그는 “교회에서 청소년부를 맡고 있는데 선교를 통해 교회 아이들의 사명을 깨우고 평신도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선교적 교회에 대한 목표가 있다”고 말했다.

이날 개막한 ‘만나IC 2025 콘퍼런스’는 ‘내일의 소망으로 향하는 오늘의 교회 이야기’라는 부제로 진행된다. 19일까지 사흘간 목회철학, 세대 연결, 쉬운 미디어, 청년 부흥, 예배 콘텐츠, 설교 작성법 등 6개 핵심 주제 아래 22개 세부 사역의 방법을 공개하는 것이 특징이다. ‘IC’라는 이름은 정체성(Identity) 회복 혹은 새로운 방향으로의 전환점(InterChange)이란 중의적 의미를 담고 있다. 현장엔 목회자와 평신도 리더 등 전국에서 온 700여명이 참석했다.

“우리 교회는 선교적 교회, 사역적 교회, 유지적 교회, 박물관 교회 중에서 어디에 해당할까요.”

김병삼 만나교회 목사가 선교적 교회의 필요성을 설명하는 모습. 만나교회 제공

첫 번째 강사로 나선 김병삼 목사가 참석자들에게 도전적인 질문을 던지며 강의를 시작했다. 김 목사는 ‘교회, 목회철학으로 씨를 뿌리다’라는 제목의 강의에서 기독교 미래학자인 레너드 스위트 미국 드루대 석좌교수가 제시한 교회의 네 가지 유형을 소개했다. 이어 “박물관 교회는 과거의 영광에만 머물러 있으면서 현재의 사명을 잃어버린 교회”라며 “교회가 박물관이 되지 않으려면 반드시 선교적 사명을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목사는 “교회 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활동이 교회 내부로만 집중돼 있는지 아니면 교회 밖 세상을 향해 집중돼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며 “교회가 내부에만 집중하고 있다면 교회의 사명을 다시 점검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 만나교회 섬김국장 이용주 목사는 ‘브리지(다리)’를 키워드로 한 교회의 선교 철학을 나눴다. 만나교회는 이주민교회와 협력하는 사역, 매년 해외에서 진행하는 선교사 위로회, 청년세대를 위한 단기선교 등을 통해 다양한 세대가 선교에 참여할 수 있는 브리지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목사는 “사역하면서 왜 이 일을 해야 하는지 질문해야 한다”며 “사역 가운데 하나님의 목적과 뜻을 향해 달려가는 것이 하나님이 원하시는 건강한 교회”라고 말했다.

세 번째 스피커로 나선 만나교회 미디어팀장 권오현 목사는 인스타그램에서 활발한 사역을 펼치는 교회친구다모여, 네버티, 엘그림교회 등을 소개하면서 “제대로 된 미디어 사역을 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타기팅을 해야 하며 미디어의 알고리즘과 플랫폼도 잘 이해해야 한다”고 전했다.

질의응답 시간엔 참석자들의 실제적 고민이 쏟아졌다. 세대론과 미디어 사역, 교회 구조 개편에 대한 질문들이 등장했다. ‘기성 세대의 역할은 어디까지 가능한가’란 질문에 김 목사는 “청년들은 교회에서 소모품처럼 봉사하는 것을 가장 힘들어한다”며 “교회의 중요한 기구나 활동에 청년들이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면 좋겠다”고 조언했다.

콘퍼런스는 교회 사역 현장에서 곧바로 적용 가능한 22개의 부문 강의와 뜨겁게 기도하고 말씀을 나누는 저녁 집회로 구성된다. 18일은 ‘생애주기와 사람’을 주제로 세대와 세대를 연결하고 다음 시대를 준비하는 만나교회의 목양 사역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마지막 날은 ‘예배’를 주제로 만나교회가 예배를 기획하고 준비하는 과정을 토크와 강의 등으로 만날 수 있다.

성남=김아영 박윤서 기자 sing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