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에 맞춰라”… 대구시, 핵심사업 지키기 분주

입력 2025-06-18 00:23
대구시청 산격청사 모습. 대구시 제공

대구시가 핵심사업들을 새 정부 정책기조에 맞추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대구시는 새 정부의 인수위원회 역할을 맡은 국정기획위원회 출범에 발맞춰 대통령 지역 공약의 국정과제 반영을 위한 실행계획을 다시 점검 중이라고 17일 밝혔다.

시가 가장 신경을 쓰는 사업은 지역 최대 현안 사업인 대구경북신공항(TK신공항) 건설 사업이다. 사업 추진이 상당 부분 진행됐지만 가장 중요한 자금 조달 방법을 아직 확정하지 못했다. 시는 2023년 4월 TK신공항 특별법 통과 후 민관공동개발사업 특수목적법인(SPC) 구성 방식을 검토해오다 경기 침체로 민간 사업자를 구하기가 어렵다고 판단해 공공자금관리기금(공자기금)을 활용한 시 주도 공영개발방식으로 사업 방향을 바꿨다. 정부의 공자기금을 빌려 사업을 시작하고 이후 개발 수익으로 갚는 방식이다. 공자기금 활용이 시의 마지막 남은 숙제다.

이에 시는 달빛동맹으로 강력한 유대 관계를 맺고 있는 광주와 함께 대처할 계획이다. 군공항 이전을 추진 중인 광주와 협력을 강화해 시너지효과를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광주와는 이미 신공항 관련 특별법 제정에 힘을 모은 경험이 있고, 달빛철도 건설도 함께 추진 중이라 신공항 문제를 논의하는 것이 어렵지는 않을 전망이다.

지역 난제인 취수원 이전도 대구·경북 사업만으로 추진 시 국정과제 반영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낙동강을 공유하고 있는 부산과 울산, 경남까지 아우르는 영남권 전체의 물 문제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군부대 통합 이전과 미래 5대 신산업 육성 등 다른 핵심 현안도 국정과제에 반영될 수 있도록 최적의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8월까지 100대 국정과제를 선정한다는 계획을 밝힌 국정기획위원회에 시 의견이 전달될 수 있도록 소통 채널 구축에도 힘을 쏟을 예정이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행정부시장)은 “새 정부 기조에 맞는 선제적 정책 제안을 통해 국정과제 선정을 주도할 수 있도록 대구시 전체가 하나 된 목소리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