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신뢰와 우정을 함께 쌓아나갈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16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주한일본대사관 주최로 열린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 리셉션에 영상 축사를 통해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한·일 양국은 함께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 중요한 파트너”라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시작으로 앞으로 총리님과 신뢰와 우정을 쌓아나갈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G7 정상회의 참석차 캐나다로 출국했다.
이번 리셉션은 60주년 기념 공동사업의 일환으로 한·일 외교부가 양국 수도에서 기념 리셉션을 각각 개최하기로 한 데에 따라 열렸다. 한국 정부 대표로는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이, 일본에선 이시바 총리의 ‘오른팔’인 나가시마 아키히사 총리 보좌관이 참석했다. 오는 19일에는 도쿄에서 주일한국대사관 주최로 같은 행사가 개최될 예정이다.
나가시마 보좌관은 “오늘날의 엄중한 국제 환경에 비춰 양국이 긴밀히 의사소통하고 협력의 폭을 넓혀가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말했다. 그는 행사에 앞서 정부 주요 인사와도 면담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과 오찬 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 발전 방안을 논의한 뒤 오후에는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를 만나 한·일 협력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한·일은 격변하는 글로벌 정세 속에서 동병상련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압박뿐만 아니라 방위비 분담금 문제도 양국이 함께 겪고 있는 고민이다. 북핵 위협으로 인한 안보 문제 역시 보조를 맞출 필요가 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미국의 동맹국인데도 경제·안보적으로 압박을 받는 등 여러 면에서 한·일은 비슷한 처지”라고 언급했다.
다만 일본 내에선 여전히 이재명정부에 대한 경계 기류가 남아있다. 임 교수는 “진보 정부가 그동안 과거사 문제를 언급해왔기 때문에 새 정부에 대한 의구심이 있다”면서 “역사적 갈등 때문에 과거처럼 한·일 관계가 퇴행하는 게 아니라 미래를 지향한다는 메시지를 줘야 한다”고 말했다.
나가시마 보좌관도 과거사 문제와 경제·안보적 실익을 분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날 한국외교협회와 최종현학술원이 개최한 특강에서 한·일 역사 문제와 관련해 “단기적 이해득실에 얽매이지 말고, 장기적 전략 이익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제언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