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이재명 대통령은 동맹국 정상 간 관계의 첫 단추를 성공적으로 끼워야 하는 중차대한 과제를 안고 있다. 무엇보다 미·일 정상과의 회담이 당면과제다. 미국과는 관세 협상과 산업 협력 방안을 아우르는 ‘줄라이 패키지’에 대한 대화의 물꼬를 터야 하며, 일본 정부에는 과거사 문제보다 향후 양국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이 대통령은 캐나다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16일 출국길에 올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이 성사된다면 당장 급한 불인 관세 협상 문제의 출구를 만들어야 한다. 관계 유예기한(7월 8일)이 채 한 달도 남지 않아서다. 그동안 한국의 정치적 상황으로 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웠던 만큼 대응 시간을 벌고, 그에 대한 반대급부도 제시해야 한다. 짧은 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반길 만한 조선업 협력, 알래스카 천연가스(LNG) 프로젝트 참여 등을 먼저 언급해 첫인상을 잘 남겨야 한다는 것이다. 반길주 외교안보연구소 조교수는 “관세 협상에서 미국의 경제정책에 한국이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을 먼저 전하고, 중국의 영향력을 우려하는 미국과 신뢰를 먼저 형성하는 것이 이번 회담에서 선제돼야 한다”고 전했다.
올해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일본과는 동병상련의 위치에서 협력 의지를 강조할 수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압박뿐만 아니라 방위비 분담금 문제도 양국이 함께 겪는 고민이다. 북핵 위협으로 안보 문제도 맞닿아 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미국의 동맹국인데도 경제·안보적으로 압박을 받는 등 여러 면에서 한·일은 비슷한 처지”라고 언급했다.
이 대통령의 대일 유화 메시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일본 내에 남아 있는 새 정부에 대한 경계심을 푸는 것도 과제다. 임 교수는 “진보 정부가 그동안 과거사 문제를 언급해 왔기 때문에 새 정부에 대한 의구심이 있다”면서 “역사적 갈등 때문에 과거처럼 한·일 관계가 퇴행하는 게 아니라 미래를 지향한다는 메시지를 주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도 “현재 한·일 관계가 그 어느 때보다 좋은 지표를 나타내고 있는 만큼 기존의 협력 수준을 유지한다는 이야기가 오가면 우선 첫 만남은 성공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날 주한 일본대사관은 서울 롯데호텔에서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 기념 리셉션을 개최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행사 참석차 입국한 나가시마 아키히사 일본 총리 보좌관과 이날 오전 조찬을 갖고 양국의 관계 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