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 성향 역사교육단체 ‘리박스쿨’과 연관된 강사 43명이 전국 57개 초등학교에서 강사로 활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진행 중인 전수조사 중간 결과여서 연루 강사와 학교 수는 늘어날 수 있다. 정부는 이달 말까지 리박스쿨 연관 강사들의 교육 중립성 위반 여부 등을 점검할 예정이다.
16일 교육부가 발표한 ‘늘봄학교 프로그램 전수조사 중간 결과’에 따르면 리박스쿨 유관 기관에서 교육을 이수하거나 자격을 취득한 강사는 43명이다. 이들은 7개 시·도교육청 57개교에서 늘봄학교 수업을 진행했다.
강사 43명 중 31명은 여전히 학교 현장에서 수업을 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31명은 학교와 직접 계약해서 리박스쿨 관련 단체가 발급한 자격증 소지만을 이유로 계약을 중단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늘봄학교는 초등학교 정규수업 외에 운영하는 교육과 돌봄이 연계된 프로그램이다. 지난 6·3 대통령선거 직전 리박스쿨 단체가 늘봄학교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학생에게 ‘극우 사상’을 주입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된 뒤 교육부는 전수조사를 벌이고 있다.
교육부는 조사 대상 43명이 맡은 수업 프로그램이 과학과 체육 등 예체능 계열이었고, 역사 교육과 관련된 내용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교육 중립성 훼손 사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이달 말까지 교육청과 해당 학교를 점검하고 중립성 위반 등을 확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리박스쿨 손모 대표가 설립한 ‘한국늘봄교육연합회(연합회)’에 대해서는 공무집행방해와 사기 혐의로 경찰에 수사를 의뢰키로 했다. 연합회가 지난 2월 서울교대와 업무협약을 할 당시 사단법인을 사칭한 정황이 있다고 봤다. 네이버도 지난 9일 리박스쿨을 업무방해 등 혐의로 고소하며 관련 수사가 진행 중이다.
서울에서는 서울교대가 연합회와 업무협약을 맺고 서울지역 10개 학교에 프로그램을 공급했다. 현재 프로그램은 중단됐고, 다른 프로그램으로 대체수업이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정헌 기자 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