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하며 다자 외교 무대에 복귀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때부터 G7에서 동맹국 정상들과 충돌하는 등 다자 정상외교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는데, 이번에는 상호관세 부과로 인한 무역전쟁과 우크라이나 전쟁을 둘러싼 갈등 등으로 동맹과의 균열이 더 커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트럼프는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에서 관세를 핵심 의제로 다루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 그는 15일 출국하기 전 백악관에서 취재진과 만나 “몇 가지 새로운 무역협정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우리의 무역 합의를 갖고 있다”며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서한을 보내는 것이며 이는 당신이 지불해야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무역 합의가 제때 이뤄지지 않으면 다음 달 8일 관세 유예 시한이 지난 이후 일방적으로 상호관세를 정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한 뒤 무역협상에 나섰지만 지금까지 타결된 국가는 영국뿐이다. G7 가운데서도 나머지 5개국(일본·독일·프랑스·이탈리아·캐나다)이 협상 중이며, G7 회의에 초청된 한국과 호주 등도 여전히 미국과 협상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도 이번 G7 회의에서 갈등 요소가 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는 미국이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나타내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직접 담판에 나서고 있지만 유럽 동맹국들은 우크라이나를 중심으로 결집하고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이번 회의에 참석해 서방에 지원을 호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는 중재를 자임했지만 휴전 협상은 진전이 없는 상태다.
트럼프는 회의 개최국 캐나다와의 관계도 좋지 않다. 캐나다를 향해 ‘미국의 51번째 주’가 돼야 한다는 주장을 반복해 캐나다인들의 반감을 키워 왔다.
AP통신은 “트럼프가 G7 정상회의의 와일드카드(변수)”라면서 “정상회의 의장인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회의가 끝나면 공동성명을 발표하는 연례 관행을 포기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이번 회의가 G7의 단결보다 양자 간 무역협상 자리로 변질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전했다. 뉴욕타임스도 “세계 정상들은 트럼프의 글로벌 파트너십 이탈에 대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G7 참석에 앞서 트럼프가 병합하겠다고 압박해온 그린란드를 지지 방문하며 긴장을 예고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