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음식료품 물가 OECD 2위… “장보기 겁나네”

입력 2025-06-16 00:21

실질 구매력을 고려한 한국의 식료품 물가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높은 먹거리 물가가 전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꾸준히 웃돌면서 체감 물가를 밀어 올리는 모양새다.

15일 OECD가 집계한 실질 구매력 평가(PPP) 기반 물가 수준에 따르면 한국의 식료품 및 비(非)주류 음료 가격 지수는 2023년 기준 147로 OECD 평균인 100을 47% 웃돌았다. PPP 기반 물가 수준은 국가마다 다른 경제 규모·환율 등 변수를 보정해 각국 국민이 체감하는 물가 수준을 비교하는 데 활용되는 지표다.

조사 대상인 OECD 38개국 중 식료품·음료 물가가 한국보다 높은 국가는 스위스(163) 1곳뿐이었다. 대표적 고물가 국가인 아이슬란드(145)는 물론 일본(126), 독일(107), 미국(94) 모두가 한국보다 식료품 부문의 물가 부담이 덜했다.


특히 한국은 육류 물가 지수가 198로 OECD 평균의 2배에 육박해 고기 소비에 상당한 부담을 주고 있다. 육류 부문에서도 조사 대상국 중 스위스(233)만이 한국보다 높은 물가 수준을 기록했다. 한국의 의복·신발 등 의류 부문 물가지수 역시 137로 OECD 평균을 한참 웃돌았다.

다만 한국은 소비 전반을 포괄하는 가계 최종 소비(HFC) 지수에서는 85로 OECD 평균을 밑돌았다. 주거·수도·전력(61) 건강(53) 교통(80) 등 공공 서비스 분야에서 OECD 평균보다 물가 부담이 크게 낮았기 때문이다.

먹거리 물가 상승 속도는 전체 물가 상승 속도보다 빨라 국민이 체감하는 부담도 커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연간)부터 올해 1분기까지 전체 물가는 16.0% 올랐지만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 비중이 큰 144개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이보다 높은 19.1%를 기록했다. 특히 식품 물가와 외식 물가는 같은 기간 각각 25.0%, 23.4%씩 치솟았다. 2020년부터 지난달까지 39개 외식 품목 중 김밥(38%), 햄버거(37%)를 포함해 9개 품목의 물가상승률이 30%를 넘겼다.

이 같은 먹거리 물가 상승의 원인으로는 식자재비·인건비 상승과 국제 원재료 가격 인상 등이 꼽힌다. 한국 식료품 유통 시장의 낮은 생산성과 개방도, 상대적으로 높은 유통·거래 비용 등 구조적 요인 역시 먹거리 물가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정부는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먹거리 물가 안정을 위한 범부처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비축 물량을 조기 방출하거나 수입 농축산물에 대한 할당관세를 확대 적용하는 등의 대책으로 최근 가격이 급등한 계란과 가공식품의 물가 안정을 우선 과제로 삼을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배달앱 수수료 상한제가 ‘외식 물가 잡기’ 카드로 활용될 수 있다는 예상도 있다.

세종=이의재 기자 sentin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