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AI 인재 유치에 3000억 쏟는다

입력 2025-06-16 00:30

정부가 국내 인공지능(AI) 인재 유출을 막고 해외 우수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박사후 연구원(포닥)에게 연봉 9000만원 등을 지원하는 연구 사업을 전개한다. 이 사업에는 올해 300억원을 시작으로 5년간 총 3000억원이 투입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4대 과학기술원은 AI 융합 분야의 ‘이노코어 연구단’에 참여할 박사후연구원 400명을 선발한다고 15일 밝혔다. 연구단은 초거대언어모델(LLM) 등 AI 모델과 제조 AI, AI 바이오 및 에너지 등 8개 분야로 구성됐다.

선발된 박사후연구원에게 연봉 9000만원이 지급되고, 8개 연구단은 연간 융합 연구비로 각각 30억원을 지원받는다. 1인당 6000만원가량의 연구비가 지원되는 셈이다.

정부는 중국의 ‘딥시크 쇼크’를 예로 들며 박사후연구원이 첨단 기술 연구의 핵심 주체로 떠올랐다고 강조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딥시크 알고리즘을 만든 개발자들의 평균 연령대는 20대 후반~30대 초반으로 박사후 2~3년차에 연구 성과를 창출했다”고 말했다.

현재 국내 4대 과학기술원의 박사후연구원은 전임 교원 수의 절반 수준으로,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의 포닥이 전임 교원보다 1.4배 많은 것과 대비된다. 지난해 기준 MIT 포닥의 평균 연봉은 8만 달러(약 1억1000만원)에 달했지만, 4대 과학기술원 포닥의 경우 4800만원에 불과했다. 과기정통부는 “전 세계적으로 AI 및 과학기술 인재 확보 경쟁이 심화하는 상황”이라며 “이번 박사후연구원 채용을 통해 고급 인재의 두뇌 유출을 방지하고 재유치(리쇼어링), 해외 우수 인재 유치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