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알래스카 다국적 연합 공중전투훈련 ‘레드플래그’ 중 발생한 우리 공군 KF-16 전투기(사진)의 사고 원인은 조종사 실수인 것으로 조사됐다. 항공기 이동용 도로(유도로)를 활주로로 착각해 사고를 냈다.
12일 공군에 따르면 KF-16 전투기 3대는 전날 오전 9시2분쯤(현지시간) 레드플래그 공중전술 훈련을 위해 현지 아일슨 기지에서 이륙을 시도했다. 그런데 KF-16 3대 모두 활주로가 아닌 유도로로 잘못 진입했다. 미 공군 관제탑은 1번기가 유도로상에서 실제 이륙하는 것을 보고, 2번기에 즉각 이륙 취소를 지시했다. 2번기는 그러나 정지거리가 부족해 항공기를 제대로 멈추지 못했고, 조종사는 비상 탈출했다. 조종사가 떠난 2번기는 유도로 끝단 너머까지 미끄러져 풀밭 지역에 멈춰 섰고, 항공기는 화재가 발생해 파손됐다.
공군은 해당 조종사들이 수개월 전부터 충분한 시뮬레이션을 거쳤다고 설명했다. 현지에서도 미군 측 주관으로 아일슨 기지의 특성 등을 숙지했다고 한다. 하지만 1~3번기 조종사 4명 모두 활주로를 착각했다. 공군 관계자는 “낯선 환경이고 첫 비행이다 보니 순간적으로 잘못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종사 실수로 인한 공군의 전투기 사고는 올해 들어서만 3번째다. 지난 3월 6일 공군 KF-16 전투기 2대가 경기도 포천에서 시행된 한·미 연합훈련 중 민가에 MK-82 공대지 폭탄 8발을 투하하는 오폭 사고를 냈다. 조종사들이 좌표를 잘못 입력해 발생한 사고다. 지난 4월 18일엔 비행훈련 중이던 공군 KA-1 공중통제공격기가 기관총과 연료탱크 등 무장을 지상으로 낙하했다. 이 사고 역시 히터 풍량을 조절하려다 버튼을 잘못 누른 조종사의 단순 사고로 확인됐다.
공군은 “연이은 사고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항공기 문제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번 사고로 중단했던 KF-16 계열 전투기 비행은 13일부터 재개한다”고 덧붙였다.
공군은 미군 관제 시스템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KF-16 편대의 1번기가 유도로로 잘못 진입했을 당시 이를 파악하지 못한 미국 관제탑에서 이륙을 승인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공군 관계자는 “책임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확인하고 있다”며 “미군 관제사가 (이륙 지시를) 언제 했는지 등 세부적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레드플래그 알래스카는 오는 27일까지 진행되며 한국과 미국, 일본, 벨기에 등이 참가 중이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