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해양과 산악 관광자원을 연계한 ‘해양산악레저특구’ 지정을 본격 추진한다. 동구 대왕암공원과 울주군 영남알프스를 하나로 묶는 복합형 레저특구 시도는 울산시가 처음이다.
울산시는 동구·울주군과 공동으로 ‘울산 해양산악레저특구’ 지정 사업을 추진하기로 하고, 관련 계획안을 12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 열람 공고한다고 밝혔다.
특구 대상지는 동구 일산동·방어동 일원 1.7㎢, 울주군 상북면·삼남읍 일원 96.2㎢ 등 총 97.9㎢ 규모다. 시는 이 일대를 체류형 해양·산악 레저 거점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특구 계획은 레저테인먼트 기반 조성, 지역 스토리 콘텐츠 개발, 브랜드 마케팅 등 3대 전략과 6개 특화사업, 21개 세부 사업으로 구성됐다.
시는 오는 26일 동구 일산동 행정복지센터, 다음 달 2일 울주군 영남알프스 복합웰컴센터에서 공청회를 열고 시민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계획안이 확정되면 오는 9월 중소벤처기업부에 특구 지정을 신청할 예정이다. 지정이 확정되면 ‘규제자유특구 및 지역특화발전특구에 관한 규제특례법’에 따라 인허가 간소화 등 규제 완화가 적용된다. 이에 따라 관광시설 개발, 민간 투자 유치, 숙박·체험 콘텐츠 확장 등이 한층 수월해질 전망이다.
시는 이번 특구를 계기로 해양과 산악을 연계한 융합 관광모델을 구축하고, 지역 관광산업의 체질 전환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울산의 대표 관광지를 하나의 권역으로 연결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울산에는 언양·봉계한우불고기특구(2006), 장생포고래문화특구(2008), 태화역사문화특구(2023) 등 3곳이 운영 중이다. 이번 특구가 지정되면 울산의 네 번째 지역특화발전특구가 된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