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본관동과 예배당 완공 후 나는 ‘대전신학대학교 50년사’를 발행하기로 마음먹고 자료를 정리하던 중에 초대 교장을 지낸 분이 이자익 목사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그리고 이 목사님이 어린 시절 고아로 자라 장로교 분열 이전에 총회장을 세 번(13, 33, 34회)이나 역임하셨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이자익 목사는 당시 조선 교회를 대표하는 최고의 지도자였다. 그러나 평생 농촌교회 목회자로만 섬겼기 때문에, 아무도 인물로 세워주지 못해 역사에 묻혀버린 것이다.
이자익 목사를 기억하는 사람이 거의 없었던 그때, 나는 교회사를 연구하는 김수진 목사를 만났다. “목사님, 이자익 목사 관련 자료를 학교에 주시면 사료관을 만들겠습니다. 그리고 목사님이 전기를 써 주세요.” 나는 김 목사가 후손에게 받아 간직하고 있던 사진과 책, 육필 자료 등 이자익 목사 소장품을 기증받아 학교 안에 ‘이자익목사기념사료관’을 만들었다. 그리고 김수진 목사로 하여금 이자익 목사 전기(傳記)를 쓰도록 했다.
이자익 목사는 70세의 고령에도 1950년 4월 보이열(Elmer T. Boyer) 선교사와 함께 대전고등성경학교를 개교했고, 이를 신학교로 발전시켜 1954년 8월 25일 대전신학교를 개교하고 초대 교장에 취임했다.
나는 이자익 목사의 손자인 대전제일교회 고(故)이규완 장로와 함께 뜻을 모아 ‘이자익목사기념사업회’를 조직하며 주 사업으로 ‘이자익목회자상’을 제정하기로 했다. 이 상의 기금은 후손들과 이사들이 후원하기로 했고, 농촌교회 목회자나 선교사 중에 이자익 목사의 정신으로 열심히 일하는 하나님의 종을 발굴해 세상에 알리는 상으로 정했다.
2005년 4월 19일에는 ‘대전신학대학교 초대교장 이자익 목사 기념행사’를 열었다. 그리고 2008년 10월 9일에는 ‘이자익 목사 서거 50주기 기념추모예배’를 대전신학대학교 글로리아홀에서 거행했다. 나는 특강에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현재 한국교회는 이자익 목사가 활동했던 시대처럼 난세이고 사회적 혼란과 교회의 분열과 갈등이 고조된 시대입니다. 이 시대의 고민은 이자익 목사의 역할을 이어받아야 할 인물의 부재에 있습니다. 오늘날 한국교회의 목회자다운 목회자가 누구인가. 노회나 총회의 정치에서 법과 원칙을 소신 있게 세워나가는 존경받는 교회 정치인은 누구인가. 한 인간으로서, 그리고 신앙인으로서 존경받을 만한 신앙인격자가 누구인가. 우리 시대의 교회는 이에 대한 답을 가지고 있지 못한 채 혼란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마치 오케스트라에서 각 악기마다 뛰어난 연주자는 많은데 이를 모아 하나의 하모니로 조화시킬 수 있는 지휘자가 없는 것과 같은 현상입니다.”
마치 고고학자가 보물을 발굴하듯이, 수십 년간 세인의 뇌리에서 잊혀진 이자익 목사를 발견해 새롭게 조명하고 세상에 알린 것은 나에게 큰 자부심으로 남아 있다. 그리고 이는 학교의 건물을 완공한 것 이상의 의미 있고 보람된 일이라고 감히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이제 이자익 목사가 세상에 많이 알려지게 된 것은 참으로 기쁜 일이다.
정리=박윤서 기자 pyun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