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회동 가능성이 예상되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앞두고 외교·통상 분야 차관급 인사를 단행했다. 대미 관세 협상이 경제 회복의 당면과제인 만큼 즉각 협상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즉시 전력감’ 위주 인선이 이뤄졌다는 평가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10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기획재정부 1·2차관, 외교부 1·2차관,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통상교섭본부장 인사를 발표했다. 신임 기재부 1차관에는 이형일 통계청장이, 2차관에는 임기근 조달청장이 임명됐다. 이 차관은 기재부에서 경제정책국장·차관보 등 주요 정책라인을 거친 거시경제 전문가로 꼽힌다. 강 대변인은 “IMF 외환위기 직후 미국 국제부흥개발은행(IBRD) 선임이코노미스트를 지내 국제적 감각을 갖췄고, 기재부 직원이 꼽은 닮고 싶은 상사에 세 차례 선정돼 내부 신망이 깊다”고 인선 배경을 설명했다. 임 차관은 기재부 예산총괄심의관·재정관리관을 역임했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 파견돼 국회 관계에도 강점이 있다. 강 대변인은 “성장 전략의 토대를 닦을 예산 정책 전문가”라고 강조했다.
외교부의 경우 1차관에 박윤주 주아세안대표부 공사, 2차관에 김진아 한국외대 LD학부 교수가 낙점됐다. 박 차관은 외교부 북미2과장과 북미국 심의관 등을 거친 전형적인 ‘북미통’이다. 관세 협상에 대비한 국익 중심의 실용 외교를 진행할 적임자라는 게 강 대변인 설명이다. 김 차관은 학자 출신이지만 한미연합사 정책자문위원을 맡는 등 실무 경험도 갖췄다는 평가다. 한국인으로서는 세 번째로 유엔사무총장 직속 군축 자문위원도 지냈다. 강 대변인은 “G7 회의를 포함한 다자외교에서 국익을 지켜낼 인물”이라고 설명했다.
산업부 1차관에는 문신학 전 산업부 대변인이, 통상교섭본부장에는 여한구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선임위원이 임명됐다. 문 차관은 산업부 내에서 석유·가스·원자력 분야를 두루 담당한 ‘에너지통’이다. 여 본부장은 트럼프 행정부 1기 당시 산업부 통상정책국장으로서 통상 정책을 총괄한 ‘즉시 전력감’으로 꼽힌다. 강 대변인은 “이재명정부는 G7 국제 외교무대에서 국익을 지킬 외교 전문가들로 신속하고 새롭게 진용을 꾸렸다”며 “글로벌 보호무역주의를 타개하는 효능감 있는 정부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청와대 복귀 관련 예비비로 259억원을 책정하는 안건을 상정·의결했다. 용산 대통령실 이전 예비비였던 378억원에서 119억원(31%)을 줄였다. 대통령실은 주말과 휴일을 이용해 순차적으로 청와대 복귀를 진행하며, 청와대 관람 시간도 조정할 방침이다.
이동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