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취임 후 첫 통화를 하고 “한·중 양국이 호혜 평등의 정신 아래 경제, 안보, 문화, 인적 교류 등 다방면에서 활발한 교류와 협력을 추진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양 정상은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발전에도 뜻을 같이했다.
다만 시 주석은 첫 통화에서 이례적으로 미·중 갈등 속 한국의 신중한 대응을 요구하는 듯한 발언을 연이어 내놓았다. 이 대통령은 격화하는 통상 갈등 속 해법을 모색해야 하는 본격적인 시험대에 올랐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대통령은 10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오전 11시부터 30분간 시 주석과 통화했다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밝혔다. 시 주석은 “한국의 새로운 정부와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발전을 위해 협력해 나가고자 한다”며 대통령 당선을 축하했고, 이 대통령은 사의를 표하며 활발한 교류·협력 의지를 피력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시 주석에게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와 안정을 위한 중국의 건설적 역할을 당부했다. 시 주석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은 한·중 양국의 공동 이익인 만큼 문제의 해결과 한반도 평화·안정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 대통령은 또 오는 11월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시 주석을 초청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양국 정상이 어떤 식이든 계기가 된다면 정상 간 교류나 만남은 있을 수 있다는 상황에 대한 교감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APEC 정상회의에 (시 주석이) 참석하게 된다면 11년 만에 한국을 방문하게 되는 만큼 중요한 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관영매체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또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가 변화와 혼란으로 뒤엉킨 지역과 국제 정세에 더 많은 확실성을 불어넣어야 한다”고 말하는 등 중국이 겪는 외교·통상 현안에 대한 한국의 협조를 요청했다. 민정훈 국립외교원 교수는 “중국 입장에서는 미국이 상당한 불확실성을 증가시키고 있기 때문에 한국이 이를 줄여줘야 한다는 의미”라며 “미국 쪽에 너무 붙어 미국의 이익을 위해 움직여서는 안 된다는 뼈 있는 메시지를 던진 것”이라고 풀이했다.
최승욱 이동환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