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민생 회복과 경기 진작을 위한 2차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공식화하고 추경을 속도감 있게 편성하라고 지시했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급격히 침체된 내수를 살리는 것이 새 정부의 우선 과제라는 인식에 따른 것이다. 이 대통령은 특히 취약계층과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을 우선시할 것도 주문했다.
이 대통령은 9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 2차 회의를 주재하고 “경기 회복과 소비 진작 차원에서 속도감 있게 추경을 편성하라”고 지시했다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달 초 국회를 통과한 13조8000억원 규모의 1차 추경안에 이어 2차 추경안 편성 작업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이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은 대선 전부터 35조원 규모의 추경 필요성을 강조한 만큼 새 추경안 규모는 최소 20조원 이상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대통령은 신속한 추경 편성과 함께 취약계층 및 소상공인 지원 우선도 강조했다. 강 대변인은 아울러 “추경의 핵심 사업을 잘 발굴하고 추경 추진 시 확실한 효과가 나올 수 있게 검토하고 협업해 나갈 것을 당부했다”고 전했다.
2차 TF 회의에서는 경기 진작과 민생 안정을 위한 재정의 역할 강화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이뤄졌다고 강 대변인은 설명했다. 이를 위해 건설투자 및 소비 부진을 보완할 수 있는 사업들이 점검됐다고 한다.
이 대통령이 지난 4일 취임선서 때 “국가 재정을 마중물로 삼아 경제의 선순환을 되살리겠다”고 밝힌 만큼 전 국민 25만원 민생회복지원금을 포함한 ‘보편 지원금’과 대규모 국책사업 등도 추경안에 담길 것으로 전망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다만 “추경의 규모나 자세한 항목 등 세부 사항은 조금 더 구체화된 이후 발표하겠다”며 “구체적인 액수나 방법에 관해서는 다음 회의 정도 이후 구체화돼 전달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민주당도 신속한 추경 처리에 당력을 집중하겠다며 지원사격에 나섰다. 박찬대 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경제 회복을 위한 국가의 재정 투입은 경제 선순환의 마중물이자 국민 삶의 큰 버팀목이 될 것”이라며 “물가 안정과 함께 경제 회복을 위한 추경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르면 12~13일 삼성·SK·현대차·롯데 등 5대 그룹 총수들과 대통령실에서 회동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최태원 SK그룹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비롯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 주요 그룹 총수와 한국경제인협회, 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무역협회 등 경제 6단체장이 참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이 오는 15~17일(현지시간)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회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미리 경제 상황과 산업계 주요 현안 등을 파악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최승욱 이동환 송경모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