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가뒷담] 쿠팡행 ‘이직 열차’ 바삐 움직이는 관가

입력 2025-06-09 00:43

최근 관가에서 쿠팡행 ‘이직 열차’가 분주히 운행하고 있다. 플랫폼 규제 강화와 노란봉투법 입법을 공언해온 새 정부 출범에 맞춰 쿠팡이 대응 체계를 강화하는 모습이다.

8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의 지난달 퇴직공직자 취업심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4월 공정거래위원회를 퇴직한 A사무관은 취업가능 판정을 받고 쿠팡 상무로 이직했다. 그는 2022년 10월 공정위를 떠나 쿠팡 전무로 취업한 이숭규 전 카르텔총괄과장에 이은 2년 반 만의 ‘2호 이적생’이다.

공정위 출신 쿠팡 임원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지난달 공정위를 그만둔 B과장이 이달 취업심사를 거쳐 이직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업무 관련성을 이유로 한 차례 취업불승인 결정이 났던 이 전무와 달리 심사에서 별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다. B과장은 공정위 정책 분야에서 근무해왔다.

쿠팡은 공정위의 주요 규제 대상이다. 공정위는 지난해 쿠팡의 자체브랜드(PB) 상품 알고리즘 조작 등을 적발해 1600억원대 과징금을 부과했다. 지금은 와우멤버십 끼워팔기 의혹, 쿠팡이츠 최혜대우 요구 등을 조사 중이다.

다른 부처 공무원도 줄지어 쿠팡으로 향하고 있다. 쿠팡의 물류 자회사인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는 최근 고용노동부 5·6급 공무원 7명을 대거 영입했다.

쿠팡의 연이은 공무원 영입은 ‘플랫폼 규제 강화’를 천명한 이재명정부의 정책 추진에 대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공약집에서 독과점 플랫폼의 반경쟁 행위를 차단하는 ‘플랫폼 경쟁촉진법’을 입법하고 거대 플랫폼 기업의 사회·경제적 책임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지난 5일 열린 첫 국무회의에서도 공정위의 인력 충원 필요성을 직접 거론했다.

공약집에는 하청노동자에 단체교섭권을 부여하는 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노란봉투법) 추진도 담겼다. 다수의 특수고용직 노동자를 간접 고용 중인 쿠팡은 이 법안의 주된 적용 대상이다.

업계 관계자는 “새 정부의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고 내부 통제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라도 관련 기관 인력 수요가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세종=이의재 기자 sentin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