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정부 출범으로 한동안 지지부진했던 울산 공공의료원 설립과 해상풍력 단지 구축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5일 울산시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의 울산지역 대표 공약은 울산의료원과 UNIST 부설 국가 고자기장연구소 등 모두 7가지다.
세부 공약을 보면 어린이치료센터를 포함한 울산의료원과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두 사업 모두 민선 7기 역점 사업이었다.
공공의료원은 2021년 7월 북구 창평동에 예정 부지를 선정했지만 경제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2023년 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문턱을 넘지 못한 이후로 진척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 구축’은 울산 앞바다 배타적경제수역(EEZ)에 약 6GW 규모의 대형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를 조성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투자 규모는 최대 43조원에 이른다.
송철호 전 시장이 가장 크게 비중을 두고 추진했고, 문재인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에도 부합해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다. 하지만 윤석열 전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해상풍력 발전의 공사 하청은 이권 공동체이고,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지 않은 사람이 사업에 낄 수 있겠느냐”라며 이권 개입 의혹을 제기했고, 국민의힘도 그 실효성이나 기대 효과가 과대 포장됐다는 당론을 견지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1일 울산 유세에서 해상풍력 발전과 함께 자동차·석유화학·조선산업의 미래 친환경산업 전환 등 울산지역 주력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도 제시했다.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5개 단지는 지난해 핵심 인허가 절차인 환경영향평가를 통과했다. 앞으로 행정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되면 2028년부터 2031년까지 순차적으로 해상풍력 단지가 들어선다.
차질이 우려되는 사업도 있다. 울산시는 이번 대선을 앞두고 5대 분야, 12개 정책과제, 35개 세부 사업을 각 후보 캠프에 전달했다. 하지만 핵심사업으로 꼽은 울산형 제조 인공지능(AI) 혁신 허브 조성, 청정수소 생산·활용 클러스터 구축, 국제정원박람회 지원 등 산업·문화 분야 사업들은 이 대통령의 광역 공약에서 제외됐다. 이들 사업은 국비 지원이 절대적이라는 점에서 앞으로 사업 추진 과정이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시는 예산 규모를 축소하거나 사업 범위를 줄여 끝까지 추진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중앙 부처와의 긴밀한 협의를 이어나가면서 협의점을 찾겠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