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화력 경제’ 충남, 친환경 수소경제로 대전환 시동

입력 2025-06-09 00:00 수정 2025-06-09 00:00
김태흠 충남지사와 충남도민, 기업, 공공기관, 교육계, 시민사회단체 등 500여명이 지난해 홍성 혜전대에서 열린 탄소중립·녹색산업 지속가능확산대회에 참석해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있다. 충남도는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추진 중인 정부 목표보다 5년 빨리 도달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충남도 제공

충남도가 기후위기 대응책으로 탄소중립 실현에 주력하고 있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2045년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하고 관련 정책을 추진 중이다.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추진 중인 정부 목표보다 5년 빨리 도달하겠다는 포부다.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2년 기준 7억2429만t이다. 2021년 대비 2.3% 감소했지만 OECD 국가 중 네 번째로 여전히 높은 수치다. 특히 충남은 전국 석탄화력발전소 58기 중 29기가 몰려 있어 온실가스배출량이 2022년 1억4555만t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지역이다. 탄소중립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상황에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충남도의 발빠른 행보가 이어지고 있다.

2045년까지 온실가스 1780만t 감축

충남도는 2045년까지 총 1780만t의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잡고 있다. 2018년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 8290만t 가운데 에너지전환(발전)과 산업 등 국가관리 부문 6510만t을 제외한 건물, 수송, 농축수산, 폐기물, 흡수원 등을 더한 목표다. 지난해 이미 136만9900t의 온실가스를 감축해 목표로 잡은 129만4800t의 105.8%를 달성했다. 2018년 이후 누적 감축량(214만500t)으로 봐도 103.6%로 초과 달성이다.

도는 건물, 수송, 농축수산, 폐기물 흡수원, 이행기반, 전환, 산업 등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감축량을 보면 건물 부문에서 21만6000t을 감축했고, 폐기물과 수송 분야에서 각각 11만1000t, 3만3300t의 온실가스를 줄였다. 다양한 분야에서 세부 사업을 추진한 결과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라 매년 사업 추진 상황도 점검하고 있다.

수소생산기지 조림 조성 탄소 흡수

충남도는 올해부터 석탄화력발전소 폐지를 시작하는 태안군에 탄소포집형 수소생산기지를 구축할 계획이다. 태안읍 인평리 일원 1만2397㎡의 부지에 2028년까지 170억원을 투입해 건립한다. 탄소포집형 수소생산기지는 천연가스를 개질해 하루 1t, 연간 360t가량의 수소를 생산해 태안 지역 수소 차량 등에 공급할 예정이다. 360t의 수소는 수소승용차 6만대가 1회 완충(1대당 6㎏)할 수 있는 규모다. 가동 후에는 수소도시 조성 사업과 연계해 수소 생산량을 1일 2t으로 확장하는 등 사업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특히 천연가스 개질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95% 이상을 포집한 뒤 고순도 탄산칼슘을 만들어 플라스틱 가공 업체 등에 보낼 계획이다.

올해 탄소 흡수를 위해 2152㏊ 규모의 조림사업도 추진한다. 경제림 조성 1341㏊(103억원), 큰 나무 조림 279㏊(34억원), 지역 특화 조림 190㏊(39억원), 내화수림대 조성 65㏊(10억원), 산불 피해지역 복구 277㏊(41억원) 등 총 227억원 규모다. 상수리나무, 두릅나무 등 시 군별 특성에 맞는 나무를 식재하고, 벚나무와 이팝나무 등 보기 좋은 수종도 식재해 탄소중립과 미관을 동시에 노린다. 또 공유림과 유휴지 등에 헛개나무·아까시나무 등을 식재하고, 대형 산불 확산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침엽수 단순림 등도 조성할 방침이다.

‘석탄화력 폐지 특별법 제정’

충남도는 석탄화력발전소 폐지에 대응하기 위해 전담팀(TF)을 구성하고 ‘석탄화력발전소 폐지지역 지원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태안군에는 총 10기의 석탄화력발전소가 있으며, 정부의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올해 1·2호기, 2028년 3호기, 2029년 4호기, 2032년 5·6호기가 폐지될 전망이다. 태안군은 발전산업이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지역으로, 이를 대체할 산업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고스란히 경제 위기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도는 관련 특별법을 제정하기 위해 국회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노력해왔지만 21대 국회 상임위 문턱을 넘지 못 하고 임기 만료로 자동 폐기됐다. 충남도는 석탄화력 폐지지역 지원 특별법 제정이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에 담긴 만큼 22대 국회에서 특별법을 만들기 위해 관련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국제 무대서 탄소중립 성과

김태흠 충남지사는 언더2연합 아시아·태평양 지역 의장으로서 국제 무대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최근엔 해외 출장길에 올라 탄소중립 국제협력 확대 성과를 올리기도 했다. 김 지사는 지난달 26일 인도네시아 서자바주와 26일 ‘교류 및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공동선언’을 채택했다. 도와 서자바는 탄소중립 실현을 공동 과제로 인식하고 관련 정책과 경험을 공유하기로 약속했다. 이어 지난달 29일 호주 남호주주(州)를 방문해 피터 말리나우스카스 주총리를 만나 양 지역의 탄소중립 정책을 공유하며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그는 아시아 지방정부에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4대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김 지사는 지난달 싱가포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열린 언더2연합 아시아 기후행동 정상회의에 참석해 지방정부 간 협력 확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설정 시 지방정부 역할 반영, 지방정부 자체 기후기금 조성 등을 제안했다. 김 지사는 “충남은 전국 석탄화력발전소 절반이 몰려 있고, 온실가스 배출량 전국 1위인 지역”이라며 “충남이 하지 않으면 국가 탄소중립은 될 수 없다는 각오로 에너지 전환과 산업 재편, 연구개발(R&D) 역량 강화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홍성=김성준 기자 ks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