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의 ‘HMM 본사 부산 이전’ 공약에 대해 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 HMM 육상노조가 반대 입장을 밝혔다. 본사 이전이 추진되면 “강력한 투쟁으로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HMM육상노조는 4일 입장문을 내고 “상장사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크게 훼손하는 정치 폭력을 당장 중단하길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HMM 노조는 이 대통령이 지난 1일 부산 유세에서 “끝까지 안 하면 그냥 해야지 어떻게 하겠냐”라고 말한 점을 언급하며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14일 부산 서면에서 유세하며 HMM 이전 계획을 처음 거론했다. 그는 “HMM은 민간 회사지만 정부가 자금을 출자했기 때문에 (본사 부산 이전이) 마음먹으면 불가능하지 않다”고 했다. 지난 1일엔 “70% 넘어 정책으로 해서 노동자들 설득해서 동의받겠다”며 이전 추진을 강조했었다.
노조는 서울 본사가 부산으로 이전하면 경영 효율성이 떨어지고 핵심 인력이 이탈할 것으로 보고 있다. HMM 직원 가운데 사무직(육상직) 근로자는 지난해 말 기준 1063명이고 이 가운데 800여명이 서울에서, 나머지는 부산에서 근무하고 있다. 노조는 “다수의 임직원이 수도권에 생활 기반을 두고 있는 상황에서 강제 이전이 이뤄지면 인력 유출과 조직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해외 신인도 저하 등으로 글로벌 해운시장 얼라이언스 재편에서 경쟁력이 약화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했다. 선대 및 항로 운영 계획을 협력사와 긴밀하게 소통하기 위해선 인천공항에서 가까운 서울에 본사를 둬야 한다는 주장이다.
노조는 “HMM은 국가 핵심 전략산업의 대표 상장사이고 글로벌 해운사로서 공공성과 시장 신뢰를 동시에 고려해야 할 책임이 있다”며 “본사 이전과 같은 중대한 결정은 철저한 검토와 구성원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주주인 정부 기관이 공적자금을 회수해 기업을 살리는 방향으로 사용해달라고도 촉구했다. HMM의 조속한 매각을 통해 ‘본사 이전’이라는 리스크를 잠재우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허경구 기자 ni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