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사직 전공의에게 수련 특례를 제공하며 6월 복귀 기회를 열어줬지만 실제 돌아온 전공의는 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빅5’로 불리는 주요 병원에서도 추가 모집 지원율이 10%에 미치지 못했다.
29일 의료계에 따르면 빅5 수련병원(가톨릭중앙의료원·삼성서울병원·서울대병원·서울아산병원·세브란스병원)에서 진행하는 인턴·레지던트 전공의 추가 모집이 이날 최종 마감됐다. 이번 수련 특례는 형평성 논란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등 6개 의료계 단체의 요구를 수용하면서 이뤄졌다.
서울성모병원을 수련병원으로 둔 가톨릭중앙의료원은 전날 마감한 레지던트 지원자가 60여명에 그쳤다. 전체 모집인원(788명)의 8% 수준이었다. 이날 마감한 인턴은 전체 모집인원(210명)의 8.6%인 18명만 지원했다.
서울대병원 관계자도 “28일 기준 지원자 수는 두 자릿수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세브란스병원은 지난 27일 기준 지원자가 67명으로, 모집인원(708명)의 9.5% 수준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다.
빅5 병원의 한 수련 담당 교수는 “필수과 복귀 규모는 더 적고, 지원자들이 실제 면접장에 들어올지도 불투명하다. 소수라도 돌아온다면 없는 것보다는 낫지만 병원 정상화에는 역부족”이라고 말했다.
다수의 사직 전공의들은 차기 정부와의 협상력을 높이려면 투쟁을 계속해야 한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애초 의료계가 자체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도 복귀하겠다고 응답한 전공의 2924명 중 75.4%(2205명)가 ‘필수의료 패키지 재논의’ 등을 내건 ‘조건부 복귀’를 선택했었다. 대한의사협회는 “(차기 정부는) 의대생과 사직 전공의들이 조속히 본래 자리로 돌아갈 수 있도록 현재 문제 해결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달라”고 밝혔다.
의료계 안팎에선 차기 정부와의 협상이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정부와 정치권이 더는 특혜에 가까운 조치를 내주기는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한 사직 전공의는 “새 정부와의 협상을 얘기하면서 복귀하지 말자는 건 여태껏 해온 투쟁을 지속하려는 명분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정헌 기자 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