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하버드대의 외국인 학생 비율을 현재의 절반 수준인 15%로 줄여야 한다고 압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하버드대 등을 상대로 보조금 삭감과 정부 계약 취소, 외국인 학생 등록 통제 등 ‘대학 길들이기’ 정책을 연이어 내놓고 있다. 다음 표적은 민주당 텃밭인 캘리포니아주의 명문 공립 캘리포니아대(UC)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트럼프는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제닌 피로 워싱턴DC 임시 연방검사장 취임식에서 “하버드대는 그들의 명단을 보여줘야 한다”며 “거의 31%가 외국인 학생이며 우리는 그들이 어디서 왔는지 알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그들(하버드대)은 세계의 매우 급진적인 지역에서 사람들을 데려오고 있으며 우리는 그들(외국인 학생)이 우리나라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강조했다. 트럼프는 “이런 국가들이 우리를 돕는 것도 아닌데 왜 31%나 돼야 하나”면서 “15% 정도 상한선을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사립대와 비교하며 하버드대에 자중할 것을 요구했다. 트럼프는 “하버드는 계속 싸우고 있다”며 “예를 들어 컬럼비아대도 매우 나쁜 행동을 했다. 반유대주의 성향도 강하고 다른 문제도 많지만 그래도 해결책을 찾기 위해 우리와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다수 아이비리그 사립대들이 트럼프 행정부의 요구를 수용했지만 하버드대는 각종 압박에도 소송으로 맞서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대학과의 전쟁’은 공립대로 이어질 전망이다. 법무부 반유대주의 태스크포스를 이끌고 있는 레오 테렐 선임 법률고문은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UC 시스템에 대해 연방정부가 제기하는 증오범죄 소송이 있을 것”이라며 인종·피부색·종교 등에 따른 차별을 금지하는 ‘타이틀 Ⅶ 소송’을 제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대법원까지 가야 한다면 트럼프는 그렇게 할 것”이라며 “우리는 이 대학들을 무릎 꿇게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UC는 UCLA, UC버클리 등 10개 캠퍼스로 구성된 캘리포니아주 공립대학교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