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의 보조금이 세계 철강 시장을 왜곡하고 탈탄소 전환을 저해한다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보고서가 나왔다.
OECD는 27일(현지시간) ‘2025년 철강 전망’ 보고서를 공개하고 “세계 최대 철강 생산국인 중국이 부동산시장 침체로 국내 수요가 급감하자 해외시장으로 눈을 돌렸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보고서는 “중국의 철강 수출이 2020 년 이후 배 이상으로 증가했다”면서 “중국의 철강 보조금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OECD 회원국보다 10배 높다”고 밝혔다. 중국의 철강 수출 규모는 2021년 6689만5000t에서 지난해 1억1800만t으로 급증,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 등이 저가 철강 제품 수출을 늘리면서 OECD 회원국의 철강 시장은 교란됐다. 세계 19개국이 지난해 철강 제품에 대한 81건의 반덤핑 조사에 착수했는데 이는 전년보다 5배 증가한 수치다. 중국에 대한 조사가 3분의 1 이상이다.
보고서는 “비시장적 요인이 세계 철강 시장을 왜곡해 보조금을 받지 않는 생산자들이 공정한 환경에서 경쟁하는 것을 방해한다”면서 “다른 국가들은 큰 어려움에 직면했다”고 지적했다.
중국산 저가 철강이 넘쳐나면서 철강업계의 탈탄소화 투자 계획도 차질을 빚고 있다. 철강 생산은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8%를 차지해 탈탄소화가 시급하다.
OECD는 “중국 등의 저가 철강 수출 증가가 국제시장을 왜곡하고 무역 긴장을 심화시켰다”면서 “철강 과잉생산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장기적 상황 악화를 막을 수 없다. 세계적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베이징=송세영 특파원 sysoh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