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대통령을 뽑는 선거의 사전투표가 어제 시작됐다. 이번 조기 대선은 사실상 부정투표 음모론이 촉발한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부정투표 음모론에 대한 믿음이 12·3 계엄 선포의 중요한 근거가 됐고 이로 인해 대통령 탄핵과 조기 대선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오늘까지 진행되는 이틀간의 사전투표와 오는 6월 3일 본투표, 그리고 개표 과정까지 빈틈없는 관리로 더 이상 투·개표를 둘러싼 음모론이 제기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1대 대선 사전투표 첫날인 29일 투표율이 19.58%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역대 사전투표가 적용된 전국단위 선거 투표율 중 최고치다. 사전 투표소 곳곳에선 투표 시작 시간 전부터 대기열이 만들어질 정도로 열기가 뜨거웠다. 투표를 위해 길게 줄을 선 국민들의 모습은 우리 민주주의가 위기에 빠졌다는 일각의 우려를 불식시키기에 충분했다.
잊을 만하면 제기되는 부정투표 논란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대통령 직선제 개헌 이후 치러진 1987년 제13대 대선 때도 “부정선거”라는 주장이 제기됐었다. 노무현 후보가 당선됐던 제16대 대선, 박근혜 후보가 당선됐던 제18대 대선에서도 부정투표라고 주장한 이들이 있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심지어 자신이 당선됐던 제20대 대선까지 포함한 최근의 선거에서 부정선거가 있었다는 주장을 펼치며 이를 계엄 선포의 정당성 근거로 제시하기도 했다.
이번 선거는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을 헤쳐나온 대한민국 민주주의가 건재함을 보여줄 수 있는 좋은 기회다. 우리 사회 곳곳에서 암약하고 있지만 사실로 확인된 바 없었던 부정선거 주장을 완전히 불식시킬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이번 대선 투표가 우리 정치사에서 더 이상 부정투표 음모론이 발붙이지 못하게 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