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국왕을 겸하는 찰스 3세 영국 국왕이 27일(현지시간) 캐나다에서 ‘왕좌의 연설’(The Speech from the Throne)에 나서 캐나다 주권을 강조했다. 왕좌의 연설은 영연방국 의회의 개원 연설을 가리키며, 영국 국왕이 캐나다 의회 개원 연설을 한 것은 1977년 엘리자베스 2세 이후 48년 만이다. 찰스 3세의 이날 연설은 “미국의 51번째 주가 돼야 한다”고 캐나다를 계속 위협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겨냥한 비판으로 해석됐다.
CBC방송에 따르면 찰스 3세는 이날 캐나다 상원 의사당에서 열린 의회 개원식에 참석해 연설했다. 그는 “캐나다라는 국가적 가치를 수호하기 위한 용기와 희생, 국민의 다양성과 친절함은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면서 “민주주의, 다원주의, 법치주의, 자결권, 자유는 캐나다인이 소중히 여기는 가치이며 정부는 이를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캐나다가 직면한 전례 없는 어려움으로 인해 많은 캐나다인이 불안과 걱정을 느끼고 있다”면서도 “캐나다만의 가치를 통해 새로운 동맹과 경제를 건설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캐나다 주권을 보호하기 위해 “군대를 재건하고 재투자하는 것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찰스 3세는 특히 캐나다 국가의 한 구절인 “진정한 북쪽(캐나다)은 참으로 강하고 자유롭다”를 언급하며 연설을 마무리했다. 연설 중 트럼프라는 단어는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외신들은 찰스 3세가 트럼프의 위협에 맞서 캐나다 주권에 대한 강력한 지지를 표명한 것으로 해석했다.
트럼프는 이날 찰스 3세의 연설 이후 트루스소셜에서 “우리의 멋진 골든돔(미국의 차세대 미사일방어망) 시스템에 참여하기를 간절히 바라는 캐나다가 (주권)국가로 남는다면 610억 달러(83조7000억원)가 들겠지만, (미국의) 51번째 주가 된다면 비용은 전혀 들지 않을 것”이라며 ‘51번째 주’ 주장을 이어갔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