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가 자연 생태계를 살리기 위해 토종 꿀벌을 키우는 사회공헌 사업을 시작했다. 이를 위해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 곤지암의 생태수목원 화담숲 인근 정광산에 토종 꿀벌 서식지를 조성했다.
꿀벌은 꽃가루를 옮기는 수분을 통해 전 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하는 100대 농작물 중 70종 이상의 작물 생산에 관여하는 등 생태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토종 꿀벌은 2010년 이후 꿀벌 전염병인 낭충봉아부패병으로 인해 약 98%가 사라져 멸종 위기에 처했다. 이후 병에 강한 개량종 개발 등에 힘입어 개체 수가 점차 회복했지만 2020년대 들어 기후변화 영향으로 매년 수십억 마리의 꿀벌이 사라지고 있다.
LG는 올해 한라 토종벌 100만 마리를 시작으로 오는 2027년까지 매년 개체 수를 배 이상 증식한다는 계획이다. 또 안정적인 국내 꿀벌 생태계 조성을 위해 꿀을 품은 나무를 뜻하는 밀원수(꿀샘 나무)와 꽃 등 밀원 식물의 수를 늘리는 계획도 수립 중이다.
이를 위해 LG는 토종벌 명인 1호 김대립 명인, 양봉 사회적 기업 비컴프렌즈와 협업하기로 했다. 김 명인은 토종벌 인공 분봉법, 여왕벌 관리 장치 등 토종 꿀벌 사육 관련 기술 특허 9건을 보유하고 있다.
LG는 다음 달까지 꿀벌 100만 마리의 서식지 정착에 집중한다. 증식을 마친 뒤에는 꿀벌을 양봉 피해 농가에 지원할 계획이다. 김 명인은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의 먹거리가 사라질 수도 있다는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며 “LG와 함께 토종 꿀벌 보호를 위한 다양한 기술과 노하우를 아낌없이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