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제조업 강국을 목표로 추진한 ‘중국제조 2025’에 이어 첨단기술산업 육성을 위한 새로운 전략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2015년 발표한 ‘중국제조 2025’를 통해 전기차와 태양광발전, 이동통신 장비, 조선 등에서 세계적 강국으로 떠올랐다. 하지만 반도체와 신소재 등 첨단기술산업에서는 선진국의 벽을 넘지 못했다.
중국 정부는 앞으로 10년간 첨단기술산업을 중점 육성할 방침이다. 견제를 피하기 위해 ‘중국제조 2025’ 같은 노골적인 명칭은 사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익명을 요구한 복수의 소식통은 이 같은 구상을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라고 블룸버그에 전했다.
중국은 내년부터 시행할 경제성장 로드맵 ‘15차 5개년 계획’(2026~2030년)도 준비 중이다. 5개년 계획은 인프라, 환경, 복지 등 국가 전체 발전에 관한 청사진이다. 이 계획도 국내총생산(GDP)에서 제조업의 비중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설계되고 있다.
5개년 계획은 내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공식 발표될 예정이고 ‘중국제조 2025’ 후속 계획도 그 전후에 공개될 가능성이 있다.
중국의 이 같은 움직임은 무역 불균형을 초래한다고 비판받은 기존 전략을 고수하겠다는 의미라고 블룸버그는 평가했다. 미국과 유럽 등은 중국 정부가 제조업 패권을 노리고 보조금을 남발하며 과잉생산과 저가 수출을 조장한다고 비판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한 후 미국 제조업 재건을 선언하고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국의 역할 축소를 추진하고 있다. 중국 제조업 역량을 안보 위협 요소로 간주한다.
하지만 중국은 고용 창출과 국가 안보에 중요한 제조업 비중을 낮출 의향이 없다. 시진핑 국가주석은 지난 19일 허난성의 한 공장을 찾아 경쟁력 강화를 독려했다. 그는 “중국이 제조업 세계 1위 국가로 발돋움했다”며 “제조업을 계속 강화하고 핵심기술에 통달해야 한다. 수준 높은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베이징=송세영 특파원 sysoh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