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가 대선을 일주일 남긴 27일 또다시 내부 갈등에 휩싸였다. 선대위가 ‘반탄파’ 윤상현 의원을 공동선대위원장으로 임명하자 친한(친한동훈)계가 공개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김문수 후보와 한동훈 전 대표가 첫 합동 유세로 만든 ‘원팀’ 시너지가 하루 만에 반감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선대위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은 친한계 조경태 의원은 페이스북에 “윤석열 전 대통령의 핵심 측근인 윤 의원이 어제 밤늦게 공동선대위원장으로 임명됐다”며 “이는 파면된 윤 전 대통령을 임명한 것이나 마찬가지이며 선거 포기를 선언한 것과 같다”고 비판하는 글을 올렸다. 조 의원은 “왜 하필 선거 막바지에 이런 무리수를 두는지 그 의도가 참으로 궁금하다”며 “즉각 철회하지 않으면 나는 이 시간부로 선거운동을 중단한다”고 말했다.
앞서 선대위는 26일 오후 10시쯤 윤 의원을 공동선대위원장으로 임명하는 인선안을 발표했다. 인선안에는 ‘안상훈 의원 정책특보단장 임명’ 등 친한계 의원들의 선대위 합류 내용도 포함돼 있었다.
친한계는 조 의원의 공개 반발을 시작으로 일제히 윤 의원의 선대위 합류를 동조 비판했다. 박정하 의원은 “윤상현 임명? 또 거꾸로 간다. 힘 빠진다”고 페이스북에 썼고, 한지아 의원도 “승리를 위한 처절한 노력에 그들은 또 찬물을 끼얹는다”고 거들었다.
윤 의원 인선안이 전날 김 후보와 한 전 대표의 서울 도봉구 깜짝 합동유세가 이뤄진 직후에 발표된 것에 친한계는 더욱 불쾌감을 드러냈다. 정성국 의원은 “한 전 대표가 김 후보의 유세장을 찾아 힘을 실었던 그날 밤 윤 전 대통령 및 극우세력에게 고개 숙여 온 윤 의원을 공동선대위원장에 임명하는 모습을 보며 절망감마저 느낀다”고 했다.
선대위는 다른 정치적 의도는 없다며 진화에 나섰다. 윤재옥 총괄선대본부장은 “(윤 의원 지역구인) 인천이 상당한 취약 지역인데, 선거 전체를 지휘할 공동선대위원장이 필요하다는 지역 요구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선거라는 게 작은 차이를 극복하고 함께하는 노선이 돼야 하기 때문에 다른 생각이 있는 분들께서 제기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잘 경청하고 소통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친한계는 다만 조직적인 선거운동 거부로까지 나가지는 않는 분위기다. 한 전 대표는 29일 광주 사전투표 일정을 예정대로 진행한다. 다만 전날 선대위 명단에 이름을 올렸던 정성국 의원은 “(보직을) 수락한 사실이 없다”고 했고, 다른 일부 의원도 인선 거부 의사를 내비쳤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