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최상목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등 12·3 비상계엄 당시 윤석열정부 내각의 핵심 인사들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경찰은 비상계엄 당일 국무회의와 관련한 이들의 과거 진술이 최근 대통령경호처에서 확보한 대통령실 CCTV 분석 결과와 다르다고 보고 수사 중이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26일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한 전 총리와 이 전 장관을 오전 10시부터, 최 전 부총리를 낮12시부터 각각 내란 혐의로 불러 조사했다”고 밝혔다. 이들에 대한 조사는 각각 10시간 안팎 진행됐다. 세 사람 모두 비상계엄 선포를 앞두고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했으며, 앞서 한 차례 이상 경찰 및 검찰의 소환조사를 받은 바 있다.
경찰은 이들이 비상계엄 선포 직전 열린 국무회의와 관련해 국회 증언이나 경찰 조사에서 사실과 다른 진술을 한 것으로 파악하고 재소환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최근 대통령경호처의 협조를 받아 비상계엄 당일 오후 6시부터 다음날까지 국무회의가 열렸던 대통령실 대접견실과 집무실 복도 CCTV 영상을 확보했다.
경찰은 비상계엄 선포 후 3일 뒤인 지난해 12월 6일 윤석열 전 대통령과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의 비화폰(보안전화) 정보가 원격으로 삭제된 정황도 포착했다. 경찰은 최근 경호처로부터 제출받은 비화폰 서버 등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삭제 흔적을 발견해 증거인멸 혐의 수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삭제된 시점은 홍 전 차장이 국회 정보위원회에 출석해 “윤 전 대통령이 이번 기회에 다 잡아들여. 싹 다 정리해”라고 지시했다고 폭로한 날이다. 특수단 관계자는 “일반 휴대전화와 비교하면 초기화를 했다고 보면 된다”며 삭제를 지시한 주체를 특정하지는 못했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삭제 배후에 김성훈 전 경호처 차장이나 윤 전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경찰과 경호처는 3주 가량 합동 포렌식을 진행해 비화폰 서버 기록 대부분을 복구했다. 계엄 당일인 지난해 12월 3일부터 올해 1월 22일까지가 대상이었다. 경찰은 나아가 지난해 3월 1일부터의 비화폰 서버 기록도 경호처로부터 추가 임의제출 받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