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형 광역비자’ 도입에 조선업 현장인력 수급 ‘숨통’

입력 2025-05-27 00:53

‘울산형 광역비자’ 도입으로 조선업에 순풍이 불고 있다.

울산시는 법무부 주관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의 최종 대상 지자체로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법무부는 지난 4월 1차 시범지역 발표 당시 조선업 분야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을 보류했으나 이번에 추가 결정했다.

울산형 광역비자는 조선업의 현장 인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시가 해외 현지 인력양성센터에서 주도적으로 외국인 숙련 인력을 교육·선발하고, 지역 기업에 고용을 추천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이번 사업 선정을 위해 지난해부터 지역 산업 특성과 인력 수요에 맞춘 울산형 외국 인력 유치 모델을 설계하고 선제적인 행정 준비를 추진해 왔다. 지난해 7월 제7차 중앙지방협력회의에 이어 지난해 10월에도 동남권 단체장과 대통령 정책간담회에서 광역형 비자제도 도입을 건의했다. 지난해 8월에는 우즈베키스탄 빈곤퇴치고용부와 인적자원개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올해 3월 우즈베키스탄 현지에 인력양성 교육센터를 개소했다.

이번 법무부의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에 최종 선정으로 시는 지역주도형·산업맞춤형 프로그램을 통해 조선 용접공, 선박 전기원, 선박 도장공 3개 직종을 대상으로 우수 외국 인재를 선발할 수 있게 됐다.

주요 대상 국가는 우즈베키스탄,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4개국으로 현지에서 3~6개월간의 직무 교육과 한국어, 한국 사회·문화 교육을 이수한 교육생 중 상위 90% 이내의 인력을 선발한다.

시는 올해 5월부터 내년 말까지 시범사업 기간에 총 440명의 외국인 근로자를 선발해 지역 내 조선업 기업체에 배치할 계획이다. 최근 조선업 호황으로 2027년까지 최소 1만3000명 이상의 인력을 추가로 확보해야 할 것으로 시는 보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이민청 대표단 7명은 이날 울산시를 방문해 지역 경제계, HD현대중공업 경영진과 인력개발사업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이번 시범사업이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준비와 전방위적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