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 황남동 일대가 ‘고도(古都) 이미지 찾기 사업’을 통해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는 공간으로 새롭게 변모하고 있다.
경주시는 전통 경관 복원과 주민 생활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추진한 고도 이미지 찾기 사업이 10년 만에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고도 이미지 찾기 사업은 국가유산청이 주관한다. 2015년부터 고도로 지정된 경주, 공주, 부여, 익산 등 4개 도시를 대상으로 총 719억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경주는 가장 두드러진 성과를 나타낸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황남동 일대를 중심으로 한옥 456건, 담장과 대문 등 가로경관 331건을 정비했다.
이를 계기로 카페, 찻집, 문화공방 등 전통과 현대의 감성이 어우러진 ‘황리단길’이 자연스럽게 형성됐다. 이 일대는 현재 전국적인 청년창업의 중심지이자 복합문화공간으로 성장했다. 또 전통 경관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성공적인 사례로, 문화관광도시의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다는 평가다. 전통경관을 기반으로 한 관광자원의 확장은 시민 삶의 질 향상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시는 이런 성과를 오는 10월 개최되는 제32차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와 연계해 세계에 경주의 역사와 문화를 알리는 기회로 삼을 계획이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황남동 일대는 고도 이미지 찾기 사업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라며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경주가 세계적인 역사문화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속 가능한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경주=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