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고양시는 시행 12년째를 맞은 주민참여예산제도를 통해 시민이 직접 예산 편성과정에 참여, 시정 혁신을 이끌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주민참여예산제는 시민이 직접 제안한 사업을 시가 예산에 반영하는 제도다. 행정기관이 미처 파악하지 못한 불편을 해소하는 체감형 정책으로 자리매김했다.
최근 3년간 시민 제안이 반영된 사업은 121건, 투입 예산은 약 59억원에 달한다. 고양시는 올해도 6월 말까지 시민 제안을 접수하고, 전문성을 강화한 제7기 주민참여예산위원회를 출범시키는 등 참여 기반을 한층 넓히고 있다.
특히 올해는 위원회 구성 방식을 기존 추첨에서 서류심사 등 평가방식으로 전환해 위원들의 전문성을 높였으며, 모든 분과가 제안사업을 함께 검토하는 구조로 심의의 다양성과 투명성도 강화했다.
올해 출범한 제7기 주민참여예산위원회는 80명으로 구성돼 앞으로 2년간 6개 분과(기획행정, 시민안전·교통, 환경생태, 민생경제, 문화관광, 시민복지)에서 지역 특성에 맞는 예산사업을 검토한다. 7월에는 위원과 전문가가 직접 사업현장을 방문해 예산 집행의 적절성과 낭비 요소를 점검하는 모니터링도 실시한다.
시민 제안은 6월 말까지 고양시청, 각 구청·동 행정복지센터, 주민참여예산 누리집에서 접수할 수 있다. 10월에는 ‘주민참여예산 한마당’에서 시민 투표를 통해 최종 사업이 선정되며, 시의회 심의·의결을 거쳐 2026년 예산에 반영된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앞으로도 시민들의 목소리가 시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제도의 전문성과 실효성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