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계엄 선포문·포고령, 노상원이 썼을 가능성”

입력 2025-05-22 18:57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연합뉴스

검찰이 12·3 비상계엄 선포문과 포고령 등 핵심 문건을 그 당시 민간인이던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작성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수사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22일 법조계에 따르면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는 지난 2월 11일 ‘비상계엄 관련 문건들과 노상원 작성 문건들의 유사성 검토’라는 제목의 수사보고서를 작성했다.

검찰은 보고서에서 “계엄 선포문, 포고령 1호 등 계엄 관련 문건들에 날짜와 시점 표기 방식 등의 특이점이 공통으로 확인되고 이는 노상원이 작성한 문건에서도 그대로 확인된다”며 “비상계엄 관련 문건을 노상원이 작성했을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관련 문건에서 공통적으로 ‘■→▲→o→-’ 기호가 사용돼 목차가 구분된 점 등에 주목하고 있다. 이 같은 양식은 노 전 사령관 주거지에서 확보한 USB에 담긴 다른 한글 문서 양식과 동일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검찰은 노 전 사령관이 군에서 쓰는 보고서 양식을 단순 활용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노 전 사령관은 전역 이후에도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접촉하면서 계엄 준비 단계에 주도적 역할을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노 전 사령관은 지난해 9월부터 계엄 선포 당일까지 김 전 장관 공관을 20회 이상 방문했는데, 계엄 직전 나흘간은 매일 방문한 것으로 조사됐다.

김 전 장관은 지난해 12월 1일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계엄 선포문과 포고령 초안 등을 보고했고 이튿날 수정안을 보고했는데, 노 전 사령관은 이때도 공관을 방문한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계엄 사전 모의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문건 작성 주체를 밝히기 위한 수사를 이어갈 계획이다.

신지호 기자 p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