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이의신청… 백령·대청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추진 중단

입력 2025-05-23 00:25
대청도 농여해변. 인천시 제공

서해 최북단 백령·대청·소청도 일대를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하는 절차가 북한의 이의 신청으로 중단됐다.

인천시는 백령·대청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 절차가 일시 중단된 것을 공식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중단은 유네스코가 지난 19일 북한으로부터 서면의 이의 신청을 받은 데 따른 것이다.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가이드라인 제5.4(iv)조에는 ‘회원국의 서면 반대의견이 접수될 경우, 과학적 평가가 진행되지 않으며, 해당 회원국이 문제 해결을 위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현재 국내에는 제주도(2010년), 청송(2017년), 무등산권(2018년), 한탄강(2020년), 전북 서해안(2023년) 등이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된 상태다. 하지만 회원국 이의 신청으로 지정 절차가 중단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인천시는 2023년 환경부에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후보지 신청서를 제출했고 지난해 2월 국내 후보지로 최종 선정됐다. 이후 지난해 11월 유네스코에 지정 정식 신청서를 제출했고 세계지질공원 규정에 따라 올해 2월부터 3개월간 회원국 공람도 진행했다.

인천시가 세계지질공원 지정을 신청한 지역은 인천 옹진군 백령면(백령도), 대청면(대청·소청도) 육상 66㎢와 주변 해상 161㎢이다. 앞으로 지정 절차는 북한과의 합의가 이뤄지기 전까지 사실상 중단될 수밖에 없다. 다음 달 예정됐던 백령·대청면과 주변 해역에 대한 유네스코 현장실사도 무기한 연기됐다. 현장실사에서는 유네스코 평가자들이 지난해 11월 제출된 지정 신청서, 자기평가서 등의 내용을 확인할 예정이었다. 북한의 이의 신청 사유는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이날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북한이 왜 이의 신청을 했는지 공개되지 않았지만, 우리의 해상영토가 분명한 NLL(북방한계선)에 대한 무력화 의도일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매우 안타까운 상황이지만, 향후 절차 재개를 위해 정부와 협력하고 구체적 반대 내용 파악과 함께 외교적 해결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며 “필요하다면 제가 북한과 직접 만나 이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논의할 뜻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준비했던 관련 인프라와 프로그램 등은 지역사회와의 지속적인 협력 기반으로 이어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주무부처인 환경부는 외교당국과 협력해 북한의 이의신청 사유를 파악한 뒤 대응한다는 입장이다. 정부에도 북한이 이의신청을 했다는 사실만 통보된 것으로 전해졌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