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외연 확장을 위해 공격적으로 추진 중인 보수 인사 영입을 두고 ‘텐트 몸집 불리기’에 매몰되면 자칫 혼란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당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과거 이력에 논란이 있거나 검증이 덜 된 인사들까지 성급하게 영입하는 건 당의 유기적 화합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이재명 대선 후보는 “완벽한 사람들만 모으면 좋겠지만 사람이란 약간의 부족함들이 있을 수 있다. 다 가려내면 뭐가 남겠느냐”고 말했다.
민주당은 22일 윤석열정부 대통령실에서 근무한 김대남 전 행정관이 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합류를 결정했다가 논란이 일자 철회한 사실을 공개했다. 김 전 행정관은 지난해 7월 국민의힘 전당대회를 앞두고 한동훈 전 대표에 대한 ‘공격 사주’ 의혹으로 논란이 됐던 인물이다. SGI서울보증 상근감사에 임명돼 용산의 ‘낙하산 인사’라는 지적도 나왔다. 민주당 역시 지난해 김 전 행정관 관련 의혹을 집중적으로 제기하기도 했다.
이런 김 전 행정관이 별다른 설명 없이 선대위 국민참여본부 부본부장으로 임명됐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이 후보 팬카페 등에선 “절대 합류시켜서는 안 될 사람이다” “빅텐트도 좋지만 아무나 들여선 안 된다” 등의 비판이 쏟아졌다.
민주당 내부 반발이 거세자 김 전 행정관은 선대위 합류를 포기했지만, 이후 곧바로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그는 이날 입장문을 통해 “민주당 일각에서 나타난 국민통합에 대한 당리당략적이고 냉소적인 태도에 깊은 실망을 느꼈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을 탈당한 김종민 무소속 의원의 복당도 추진하다가 역시 내부 반발에 부딪혀 보류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 후보 주변 인사가 최근 김 의원에게 복당을 권유했고, 김 의원도 긍정적인 입장이었지만 선대위 내부에서 이견이 표출됐다고 한다. 김 의원은 지난해 총선을 앞두고 이 후보 일극체제를 비판하며 탈당한 대표적인 비명(비이재명)계 인사다.
민주당은 선거운동 기간 국민의힘을 탈당한 김상욱 의원을 영입한 데 이어 허은아·김용남 등 개혁신당 출신 인사들도 품었다. 이낙연 전 총리와 함께 새로운민주당 창당을 주도했던 이석현 전 국회부의장도 민주당 선대위에 합류했다. ‘반탄 진영’을 제외한 모든 인사들을 영입 리스트에 올리는 ‘블랙홀 전략’으로 국민의힘을 고립시키겠다는 전략이다.
다만 이념과 정치적 지향점이 맞지 않는 인사들까지 텐트 안으로 들였다가 대선 이후 당내 잡음을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고개를 들고 있다. 선대위 핵심 관계자는 “개인 캐릭터가 독특해 기존에 속해 있던 정당에서 불화를 겪던 분들이 들어오면 민주당 안에서도 유사한 일이 벌어지지 말라는 법은 없다”며 “영입 인사들이 추후 당내 역할을 요구하는 과정에서도 분란이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른 민주당 관계자는 “몇몇 인사들의 그간 행적을 보면 대선 이후 민주당으로부터 어떤 자리를 약속받았다고 외부에 떠벌리는 등 언제 갑자기 엉뚱한 행동을 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경남 양산에서 기자들과 만나 “정당이 반드시 진보적 색채만 갖고 국가를 경영할 수는 없다. 유용한 정책이면 보수적 색채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김 전 행정관 영입·철회 과정에 대해서는 “통합의 가치를 훼손하는 경솔한 조치로 보인다”며 “재발 방지책과 함께 문책을 검토하라고 했다”고 밝혔다.
김판 박장군 기자, 양산=김승연 기자 pan@kmib.co.kr